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20:33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회일반
일반기사

‘쫓겨나고 폭행당하고’ 눈물짓는 어르신들

전북 노인학대사례 2019년 144건·2020년 157건 증가
피해자 여성·70대 이상 많아…가해자 대부분 가족

지난해 8월. 전북경찰청 112상황실에 70대 노인이 아들로부터 폭행을 당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A씨(75·여)는 왼쪽 눈 주위가 부어있었으며 입술 윗부분에 붉은 멍을 동반했고 가슴이 아프다고 통증도 호소했다. 아들이 어머니를 폭행한 것이다. “자신의 말을 듣지 않았다”며 A씨의 아들은 A씨를 주먹으로 안면부위를 20~30회 가격하고 온몸을 발로 찬 것으로 조사됐다.

평소에도 자신의 어머니를 향해 “뭐 하러 낳아서 고생시키냐” 등의 말과 함께 욕설도 서슴치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같은 해 9월에는 B씨(80·여)가 갑작스레 자신의 집에서 쫓겨났다. B씨를 쫓아낸 이는 다름 아닌 사위와 딸. B씨가 살고 있던 건물이 경매로 넘어가자 그의 사위인 C씨(56)와 딸인 D씨(50)가 매입했다. 딸 내외는 건물을 매입하자 어머니인 B씨에게 “집에서 나가라”고 고함과 욕설을 했다. 당시 딸 내외는 B씨로부터 1200만 원을 빌려갔지만 이 금액도 갚지 않은 상태였다.

전라북도 노인보호전문기관은 이 사건에 개입해 ‘경제적학대’, ‘신체적학대’, ‘정서적학대’를 한 것으로 판단, 딸과 B씨를 분리조치했다.

노인학대예방의 날(6월 15일)을 맞았지만 전북지역에서 노인학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전북 노인보호전문기관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지역에서 총 157건의 노인학대사례가 접수됐다. 이는 지난 2019년 144건에 비해 8.2% 증가한 수치다. 학대상담도 지난 2019년 2795건에서 지난해 3288건으로 약 15% 증가했다. 올해는 벌써 107건의 사례가 발생했다.

신고자는 관련기관이 51%로 학대전담경찰관 등을 통한 노인학대 신고 비중이 높았다. 가족 등 신고의무자의 신고는 15%에 그쳤다.

학대피해노인의 경우 여성이 111명으로 약 71%를 차지했다. 남성은 46명이었다. 학대피해 연령별로는 70대가 45%로 가장 높았고, 80대 이상이 37%, 69세 이하가 17%로 주로 고령층에서 학대피해가 많이 발생했다.

학대유형은 정서적 학대가 48.8%로 가장 많았고, 폭행 등 신체적 학대(38.6%), 방임(6%) 등의 순이었으며, 학대행위자는 70대 이상이 38% 가장 높았고, 배우자(36%), 아들(27%), 딸(18%) 등이었다.

이 같은 수치는 노인학대는 더 이상 가족의 문제로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을 방증한다.전북 노인보호전문기관 관계자는 “노인학대는 범죄다. 기관 및 가족 등 신고의무자에 대한 신고도 저조해 홍보 및 예방교육 강화를 계획하고 있다”면서 “노인학대가 없어질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