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2:15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회일반
발굴기사

전주 심야 택시대란에 시민들 '발동동'

코로나19 여파 2년간 기사 726명 줄어
택시조합 "기사 근로여건 개선해야"

image
자정시간이 가까워지면 택시대란이 펼쳐지고 있는 전주 서부신시가지에 6일 도로에 나와 택시를 기다리고 있다. 오세림 기자

지난 7일 밤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에서 술자리를 가진 안모 씨(26)는 택시를 잡지 못해 길거리를 서성여야 했다. 모임을 가진 친구와 함께 서로 다른 택시 앱으로 호출하며 금액을 높여 보기도 했지만 호출되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어쩔 수 없이 길가에 앉아 택시 호출을 시도했고, 약 30분 만에 택시가 잡혀 귀가할 수 있었다.

사회적거리두기 해제로 심야 택시수요가 폭증하면서 택시 대란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금요일과 주말에는 택시잡기가 더욱 어려워지면서 시민들은 귀가가 어려워졌다고 토로했다.

택시대란이 벌어지고 있는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해 수입이 줄은 법인 택시기사가 다른 업종으로 이직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의 '택시대수 및 운전자 현황'에 따르면 전북의 택시기사 수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12월에는 8710명이었으나 지난 2월에는 7984명으로 726명 줄었다. 특히 법인 택시기사들의 이탈이 눈에 띄게 늘었는데, 2019년 12월 개인택시기사는 5654명에서 지난 2월 5633명으로 21명 줄어든 반면, 법인 택시 기사는 3056명에서 2351명으로 705명(23%)이나 줄었다.

전주의 한 택시회사 관계자는 “사회적거리두기가 시행되고 나서부터 매출이 줄어들다 보니 기사들이 그만두기 시작했다”며 “택시기사들이 배달 쪽으로 많이 갔다더라. 요즘에는 우리가 갖고 있는 택시보다 기사 수가 더 적어서 운행하지 않는 차들도 많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택시기사들의 손님 골라 태우기가 택시대란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택시 앱에 뜨는 목적지나 호출금액을 보고 호출을 받을지 받지 않을지 결정한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택시기사는 “목적지가 유동인구가 많지 않은 곳이면 도착하고 나서 손님을 태우기 쉽지 않으니 호출을 받지 않거나 기본요금정도의 거리면 호출을 받지 않는 기사들이 많다”며 “편법으로 승차거부를 하고 있는 셈인데 단속이 쉽지 않다 보니 업계에서는 이런 행위가 일반적”이라고 말했다.

이에 전북택시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택시 기본요금이 음식 배달요금보다 저렴하다 보니 택시기사들의 급여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골라 태우기나 택시대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승객이 집중되는 시간대에만 할증요금을 적용하는 등 택시기사의 근로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택시대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