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16일 전북 서해안에서 채취한 해수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Vibrio vulnificus)이 검출됐다고 25일 밝혔다.
연구원은 매년 도내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비브리오패혈증 유행 예측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일주일 정도 검출 시기가 빨랐다. 연구원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 온도 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3급 법정 감염병인 비브리오패혈증은 오염된 어패류를 날 것으로 먹거나 상처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될 수 있다. 평균 1∼3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오한, 혈압 저하,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대부분 증상 발생 24시간 내에 피부 병변이 일어난다. 패혈증으로 진행되면 치사율이 50%에 달한다.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려면 해수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어패류 생식을 피하고, 상처 부위가 바닷물에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김호주 연구원장은 "비브리오패혈증 감염을 막기 위해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만약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