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인근서 조찬간담회.. 대기업 유치 전략·새만금전북특별자치도법 통과 로드맵 마련
기업유치 실패요인 분석·입법적 지원 소통, 전북특별자치도 전략 다변화 연내 통과 목표
김관영 전북지사와 전북 국회의원들이 기업유치와 새만금전북특별자치도 법안 통과를 위해선 치밀한 사전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들은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인근 식당에서 조찬회의를 갖고, 국가예산 확보와 숙원법안 통과 대기업 유치를 주제로 논의를 가졌다. 이번 회의에는 국민의힘 이용호 의원(남원·임실·순창)과 더불어민주당 김수흥 의원(익산갑)을 제외한 모든 전북 국회의원이 참석했다. 이 의원은 아침 일정이 있었고, 김 의원은 전주에서 예정된 기자회견으로 참석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김 지사는 “올 연말까지 특별법 통과를 목표로 하자”면서 “의원님들과 지혜를 모아 달라”고 요청했다.
도내 의원들은 전북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한 법안을 추가로 더 발의하겠다고 했다.
다수의 법안을 여야 모두에서 발의해 전북에 실익이 되는 방향으로 통과에 힘쓰자는 것이다.
김 지사는 이날 회의 이후 이뤄진 백브리핑에서 “제 의정 경험상 관련 상임위 소속 위원들을 최소 세 차례 이상 찾아가 간곡히 호소하면 반대는 하지 않는다”면서 “하지만 법안을 통과시키려면 논리에 당위성을 마련해야한다”고 언급했다.
김성주 민주당 전북도당위원장은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전북특별자치도법 제정이 이번 회의의 주요 화두였다”면서 “특별법을 올해 안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전략 다변화와 각 의원들이 가진 의견과 논리를 교환했다”고 밝혔다.
전북도와 정치권은 대기업 유치방안에 대해서도 토론을 이어갔다.
김 지사와 국회의원들은 “이번 쿠팡 투자무산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며 “기업유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장동향 파악 등 정보의 교환이다. 지자체와 의원 간 활발한 정보교류로 기업유치에 물꼬를 트자”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또 “전북의 강점이냐 무엇인지, 아울러 도내 각 지역의 산업적 특징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규정할 수 있어야한다”면서 “어떤 기업을 유치하는 게 지역과 기업에 윈윈이 되는지 면밀한 조사와 분석이 반드시 선행돼야한다”고도 했다.
기업유치를 위한 향후 대안으로는 업계 동향, 기업 내부상황은 물론 지역 내 분위기와 반대 목소리를 설득할 수 있는 갈등조정기구의 구성까지 폭 넓은 사안이 거론됐다.
정운천 국민의힘 전북도당위원장은 “기업입장에서 지역에 갖는 부정적인 메시지를 최소화해야한다”며 “도민들의 기업 수용성 문제와 관련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전북도의 기업유치 전략과 관련 “무조건적으로 지역이 을이되고 기업이 갑이되는 모습은 오히려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면서 기업유치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디테일한 사전작업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