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1:58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회일반
발굴기사

[일자리 찾아 떠나는 청년들] (상) 실태 - 타 시‧도와 임금격차 큰 전북

1인당 평균 급여 3400만 원⋯전국 최하위 수준
도내 시‧군마다 천차만별⋯최대 700만 원 차이

전북의 청년들이 타지로 유출되는 현상은 어제오늘이 아니다. 도내 지방자치단체가 청년정책을 수립했지만 여전히 매년 1만여 명에 가까운 청년들이 전북을 떠나 타지에 터전을 잡고 있다. 전북의 청년정책이 부족해서일까. 가장 큰 이유로는 전북의 일자리 때문이다. 어렵게 구한 직장이더라도 적은 봉급과 소수 인원에서의 업무포화 등 근로조건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전북일보는 전북의 현 급여체계 및 문제점과 대안 등을 두 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 주

image

4년 전 전주에서 중소기업을 다니던 A씨(31)는 6개월 만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A씨는 자신이 생각했던 것보다 임금이 적어서다.

A씨는 “고향이 전주라 이곳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싶었는데 너무 적은 임금에 깜작놀랐다”면서 “최저임금을 겨우 넘는 금액이어서 임금이 높은 서울로 갈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전북이 타 광역시‧도에 비해 임금격차가 현저히 덜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위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광역자치단체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전북의 1인당 총 급여액은 3400만 원에 불과했다. 전국 평균 3830만 원보다 약 430만 원 적은 금액이다. 

무엇보다 전북은 제주(3270만 원) 다음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은 급여였다.

1인당 평균 총급여액이 가장 많은 지역은 공무원·공공기관 종사자가 많은 행정도시인 세종(4520만 원)이었다. 제조업 도시 울산(4340만 원)은 세종과 서울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뒤이어 경기(3890만 원), 충남(3730만 원), 대전(3710만 원), 전남‧광주(3590만 원), 경남‧충북(3580만 원), 경북(3560만 원), 부산(3520만 원), 대구(3500만 원), 강원(3440만 원), 인천(3410만 원)이었다.

image

도내 시‧군별로도 1인당 평균 총 급여액이 천차만별이었다. 

전주가 3650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군산(3450만 원), 완주(3330만 원), 순창(3270만원), 익산(3230만 원), 고창(3220만 원), 임실(3170만 원), 장수‧무주(3090만 원), 진안(3080만 원), 정읍(3050만 원), 남원(3040만 원), 김제(2900만 원), 부안(2860만 원) 등의 순이었다.

청년들이 타지를 떠나는 이유다. 적은 임금은 청년들의 자발적 퇴사를 불러오고 전북을 떠나는 악순환마저 발생하고 있다.

설동훈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전북의 적은 임금체계는 어제오늘이 아니다”면서 “이른바 MZ세대들은 많은 임금을 주길 원한다. 결국 소득이 높은 타지로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급여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