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몰려드는 인파, 특별한 행사가 아닌 자연스럽게 생겨난 문화
핼러윈 행사 주최 측 모호해 전례 없어 사고 커져
서울은 물론 전국 인산인해 현장에 인력 선제 투입 과제로
시민들이 스스로 질서 지킬 수 있는 가이드라인 마련 절실
핼러윈 데이 전야에 발생한 이태원 압사 참사로 공식기념일이 아니거나 주최 측이 없는 행사도 제도권 관리가 확대될 전망이다.
31일 국가 전체의 애도 분위기 속에 여론은 책임소재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이번에도 역시 도마 위에 오른 것은 소관 부처인 행정안전부와 관할 지자체인 서울시, 용산구의 선제 대응 문제였다.
그러나 이번 사태는 공식기념일이나 행사가 아니었기 때문에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더 많은 인파가 모였던 ‘서울불꽃축제’ 경우 여의도 한강공원 일대에 105만 여 명이 몰렸지만, 주최가 서울시와 한화였던 만큼 통제가 비교적 용이했다.
불꽃축제는 특정시간 대 특정 장소에 집중적으로 인파가 몰린 반면, 핼러윈 전야 기간 이태원은 연휴기간처럼 여러 시간에 걸쳐 인파가 몰린만큼 관리가 더욱 어렵다는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실제 정부와 서울시도 ‘주최자가 없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10만 명 이상 모인 행사는 유례없는 일’이라며 난색을 표했다. 다만 매년 핼러윈 데이에는 핼러윈 성지인 이태원에 불특정 다수의 인파가 몰리는 만큼 사전 예방조치가 필요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문제는 공식 행사가 아닌 만큼 통제시간과 통제 유형을 확정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이태원 인파는 별도의 축제나 행사 신고가 없이 모여들었던 만큼 관련 지침 또한 부재한 상황이다.
이번 핼러윈 참사는 공식적인 축제장에서 일어난 일이 아니다. 청년 사이에선 홍대나 강남의 클럽거리를 찾는 것과 유사한 사례라고 보고 있다. 사람들의 밀집도가 높은 클럽이나 감성주점 인근을 경찰이 모두 통제하지 않는 것처럼 이태원 사례도 비슷하게 취급한 것이다. 그러나 이번 사태에서 보듯 공식적인 행사나 기념일이 아니더라도 기본적인 통제가 부족할 시 발생할 모든 가능성에 초점을 맞춰야한다는 게 현재 중론으로 굳어지고 있다.
또한 국가나 지자체가 모든 것을 통제 할 수는 없는 만큼 시민들이 스스로 질서를 지킬 수 있는 가이드라인 마련이 절실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지역에 가이드라인을 신설해 일방통행 지역 등을 안내하고, 특정일에는 방송 등을 통해 무질서한 분위기를 완화하자는 논리다.
정부 또한 주최자가 없는 행사에 대해 관리하는 방안을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중대본 회의 브리핑'에서 "주최자가 없는 행사가 유례없는 상황이라 관련 지침 매뉴얼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며 “이번에 관리 방안을 개선에 노력 하겠다”고 발표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