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 공로견들의 숭고한 희생,국내최초 '동물 현충원'가보니
임실군 '동물 현충원' 조성...헌신의 발자취 그대로
8마리 안장돼 있지만 그렇지 못한 공로견들 수두룩 개선 필요성 대두
“아무리 동물이라도 나라를 위해 헌신했다면 예우를 갖춰야 하지 않을까요?”
국가와 국민을 위해 봉사한 군견과 경찰견 등 공로견들이 안장된 '오수 펫 추모공원'의 최명주 지도사(30)는 11일 이같은 말과 함께 “전국 최초의 동물 현충원에서, 의로운 일을 하며 헌신한 동물의 마지막을 함께 하는 일에 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임실군은 국비와 도비 등 50억 원을 투입해 임실군 오수면 1만354㎡ 부지에 화장·추모시설, 수목장지 등의 시설을 갖춘 '오수 펫 추모공원' 을 지난 2021년 7월 30일 조성했다.
국내에서 유일한 공공 반려동물 장례식장인 이곳에는 국가를 위해 헌신한 공로견들을 안치하는 '동물 현충원'이 올해 4월 문을 열었는데,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이곳이 주목받고 있다.
공원내 자연장지 시설과 잔디장 구역에 위치한 동물 현충원 구역은 645㎡ 정도이다.
이곳엔 생전 국가와 국민 안전을 위해 몸을 사리지 않고 현장을 누볐던 8마리가 안장돼 있는데, 가장 최근에는 실종 여중생을 찾는 등 총 12차례 작전에 투입돼 ‘영웅군견’으로 불렸던 ‘달관이’도 안장됐다.
이날 오전 10시 임실군 오수면 오수 펫 추모공원. 기자가 입구를 통과하자 자연장지 곳곳에 안치된 일반반려동물들의 비석들이 눈에 들어왔고 10여m 정도 더 안쪽으로 들어가자 좌측에 헌신한 동물들이 안치돼 있었다.
가장 먼저 '대한민국 경찰견 키캣'과 ‘라텔’, ‘렉스’, ‘짱’이 나란히 안장돼 찾는 이를 반기고 있었고 경찰견들이 안장된 구역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2019년 청주 한 야산에서 실종된 조은누리(당시 14세)양을 극적으로 구조한 군견 ‘달관이’의 비석이, 그 아래로는 장애인 도우미견 ‘사랑이’와 ‘썬이’, ‘하늘이’가 영면해 있었다.
공로견들은 세상을 떠나 동물현충원에 오게 되면 추모실에서 태극기를 사체에 감싸고 화장준비에 들어간다. 화장후 유골은 가루형태로 분골된 뒤 황토 수목함에 넣어져 안장되게 되는데, 이같은 공로견들의 생애 마지막 가는 길을 최 지도사를 비롯한 4명의 지도사들이 맡고 있다.
최 지도사는 “의견의 고장에서 의로운 일을 수행한 아이들을 직접 안장할 수 있게 돼 큰 보람을 느꼈다”며 “임실뿐만이 아닌 다른 지역에도 동물 현충원이 조성돼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한 아이들을 추모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공로견 안장방식의 개선점도 대두되고 있다. 이곳에 안장된 8마리의 공로견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수명을 다한 수많은 공로견들이 이 현충원에 안장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각 기관별로 공로견의 사후 조치 방안이 다르거나, 매뉴얼 등의 미비로 소속 기관들이 자체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또 퇴역 군견·경찰견의 경우 민간으로 입양되는 경우가 많아 입양 이후 이들의 신원을 증명하기 어렵고 동물현충원 안치 절차도 복잡하다는 문제점도 대두되고 있는 등 보다 적극적인 공로견 안치를 위한 제도 개선들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임실군 측은 이곳이 동물 현충원임을 전국에 알리고 추모하는 마음을 더하기 위해 공로견 안치 부지 한켠에 비석도 설치할 예정이다.
군 관계자는 “현충원에 안장되는 동물의 경우 추모하는 마음을 담아 바닥석이 아닌 비석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동물 현충원 관리와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