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기밀보호법위반 혐의로 관련자들 검찰 송치
사채업자에게 유출된 3급 비밀…암구호 담보 정황
군 기밀의 민간 유출, 대공 용의점까지 조사 확대
군부대 소속 군인들이 사채업자에게 돈을 빌리면서 군사 기밀인 '암구호'를 유출한 정황이 포착돼 군·검·경이 합동 수사를 벌이고 있다.
전북경찰청 안보수사대는 최근 군사기밀보호법위반 혐의로 민간 사채업자와 군인 등 관련자들을 검찰에 송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들은 사채 거래 당시 차량과 부동산을 담보 잡는 것처럼 3급 비밀인 암구호를 담보로 건넨 것으로 파악됐는데, 수사당국은 담보 차원에서 이를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사건은 지난 5월 국군 방첩사령부가 충청지역 모 부대에서 근무하는 군인 일부가 사채업자에게 돈을 빌리며 암구호를 공유한 정황을 포착, 본격적인 수사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군인들은 병역 의무를 수행 중인 사병 신분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고, 채무 상환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시 이들의 지위에도 타격이 있기에 암구호를 담보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민간 사채업자와 군인 중 어느 쪽이 먼저 암구호를 담보로 설정하자는 제안을 했는지와 사건에 연루된 인원 등은 확인되지 않았다.
수사당국은 암구호를 이용한 민간인의 군 출입 정황을 비롯해 북한 유출 여부 등 대공 용의점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송치후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사항이라 자세한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국방보안업무훈령에 따라 3급 비밀로 규정된 암구호는 군사기밀로 ‘문어’(問語)와 ‘답어’(答語)로 구성돼 있다. 유출되면 즉시 폐기되고 암구호를 새로 만들어야 할 정도로 보안성이 강조된다. 보초를 서는 초병이 '문어'(問語)를 말하면 대상자는 '답어'(答語)를 외치는 방식으로 피아 식별을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