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예약 후 대리점서 교체 가능⋯대부분 이 사실 몰라 대리점 앞 대기
시민들 "사전 안내 제대로 안 되고, 대리점 재고량 파악하기 어려워" 불만
 
   "이거 어떻게 신청하는지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지난 19일 발생한 SKT 유심 해킹 사태의 대책으로 유심 무료 교체 정책이 시행됐으나, 부족한 안내와 불확실한 유심 재고량 등으로 인해 많은 시민이 불편을 겪고 있다.
28일 전주시 완산구의 한 SKT 대리점 앞은 아직 영업이 시작되기 전이었음에도 대기하는 시민들의 줄이 길게 이어졌다. 이날 대리점 앞에서 대기하던 한 시민은 유심 교체의 필요성과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절차 등을 부모님에게 설명하고 있었다.
같은 날 완산구의 다른 SKT 대리점에는 더 많은 시민이 모여 유심 교체에 대해 문의하고 있었다. 대리점 내부 직원들은 유심 교체 관련 상담을 하느라 눈코 뜰 새 없이 바빴다. 대리점 밖에서 직원 2명이 유심 교체 신청 예약 서비스를 먼저 진행해야 교체가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었으나, 40여 명의 인원이 한 번에 몰려 안내가 힘든 상황이었다. 이날 대리점의 설명에 따르면 유심 교체 예약 신청은 대리점 창문에 붙은 QR코드와 T월드 어플을 통해 가능했는데, 이로 인해 인터넷에 취약한 어르신들이 교체 신청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날 오전 내내 인터넷 유심 교체 신청 접속 대기열이 9만 명 가깝게 이어지는 상황에서 한 어르신은 핸드폰의 인터넷이 끊겼다는 것을 모르고 그대로 대기화면만 바라보다 낭패를 봤다. 또 다른 어르신은 어떻게 대기열 화면을 다시 확인할 수 있는지 주변에 애타게 수소문하고 있었으며, 보안 문자가 잘 보이지 않아 신청에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도 있었다. 교체 예약 신청 후 준비가 끝나면 부르겠다는 대리점 직원들의 말을 듣고 “직접 올 필요가 없었네”라며 아쉬워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전날 TV 뉴스를 통해 유심 해킹 관련 소식을 접했다는 김영학(70대) 씨는 “이런 문제가 있었으면 미리 SKT에서 문자 같은 것을 통해 어떻게 해야 한다고 고객들에게 안내를 적극적으로 해줘야 하는 거 아니냐”며 “여기 사람이 모여있는 것을 보고 전날 봤던 뉴스가 떠오르지 않았다면 교체 신청도 못할 뻔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교체 신청 과정의 어려움과 대리점 앞의 혼란을 버티지 못하고 유심 교체를 아예 포기하기도 했다.
유심 교체를 하려고 30분 넘게 기다렸다는 김모(60대·여) 씨는 "핸드폰이 오래돼 인터넷이 느려 교체 신청에 실패한 것 같다"며 "인터넷 신청이 어려워서 직접 나온건데⋯"라고 말끝을 흐리면서 발걸음을 돌렸다.
각 대리점의 유심 재고량도 시민들이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대리점 직원들에게 유심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확인하려고 했으나 “현재는 수량을 확인 해주기 어렵고 준비가 되면 문자로 연락하겠다”거나 “아직 재고가 없어 이후 들어오면 공지하겠다”, “관련 내용은 홍보실에 문의해야 한다”는 등의 답변만 했다.
아내와 함께 유심을 교체하러 왔다는 박모(60대) 씨는 “인터넷이 멈췄는지 유심 교체 서비스 대기열이 30분 동안 줄지 않고 있다”며 “얼마나 유심이 가게에 남아있는지 알아야 계속 기다릴지 집으로 돌아갈지 결정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뭘 알려주지를 않으니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지난 27일 자사 홈페이지 뉴스룸을 통해 "현재 100만 개의 유심을 보유 중이며 5월 말까지 약 500만 개의 유심을 추가 확보할 예정이다. 고객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다시 한 번 사과드리며 이번 사고가 조기에 해결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