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2:03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회일반
자체기사

"전북에서 살고 싶어요"⋯아이들이 제안한 인구해결 묘책은?

전주 홍산초 4학년 1반,  '인구 감소' 문제 고민 '참신한 해법' 제안
최근 '전북 소통대로'에 양육환경 조성, 다양한 축제 기획 등 내놔
챗GPT 제작 2050년 미래에서 온 '미래전북일보'신문도 첨부 눈길

image
지난달 30일 전북 소통대로에 올라온 게시글. 홈페이지 캡처

"안녕하세요! 저희는 전주홍산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입니다."

지난달 30일 도민의 의견을 나누고 실행하는 소통의 장인 전북 소통대로 홈페이지에 '인구문제 해결 방안 제안'이라는 글이 올라왔다. 글을 올린 건 전주홍산초 4학년 1반 아이들. 전국뿐 아니라 전북 인구가 줄어드는 것에 심각성을 느낀 아이들이 생각한 인구 감소 해결 방안이 담겼다.

해당 게시글에는 "요즘 우리나라에 사람이 점점 줄어드는 인구 감소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선생님과 함께 왜 그런 일이 생기는지, 우리가 뭘 할 수 있을지 이야기했다"는 말과 함께 △양육 환경 조성 △편리한 교통 마련 △다양한 축제·행사 기획 △일자리 창출 등 해결책 4가지를 제시했다.

image
게시글과 함께 올라온 '미래전북일보' 신문. 홈페이지 캡처

게시글과 함께 챗GPT로 제작한 2050년 미래에서 온 '미래전북일보' 신문도 첨부해 눈길을 끈다. 본인들이 제시한 해결 방안으로 인구가 증가해 전북 인구 300만이 돌파했다는 상황을 가정했다.

image
지난달 28일 전주홍산초 4학년 1반 학생들이 '인구 감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담임 교사 제공

아이들의 인구 감소와 관련한 고민은 담임 교사 이슬비 씨가 소속된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 교사 연구회 더자람 선생님들이 기획한 '인구 plus+ 활동으로 인구 감수성 더하기' 프로젝트를 통해 시작됐다.

이 씨는 "전국뿐 아니라 지방의 많은 도시가 인구 감소와 지방소멸의 위기를 겪고 있다. 하지만 아이들은 체감하지 못하는 실정이다"면서 "아이들이 인구 감소 문제를 각자의 삶과 연결해 생각할 수 있도록 기획한 프로젝트다"고 설명했다.

image
11일 전주홍산초 4학년 1반 학생들이 카메라를 보고 환하게 웃고 있다. 김지원 기자

지난 11일 글을 올린 아이들을 만나기 위해 찾은 전주홍산초 4학년 1반 교실.

아이들은 취재진을 보자마자 "우리가 신문에 나오다니!"라며 환호성을 질렀다. 인터뷰를 진행한 5명의 아이(김지윤, 서예설, 윤예서, 이채아, 한성호·가나다 순)는 "옛날보다 인구가 계속 줄어든다고 하는데 나중에 전주가 멸망할까 봐 무섭다"며 전북의 미래를 걱정하면서도 "평생 전북을 떠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대신 조건이 있었다. 이 조건은 게시글에 제시한 인구 감소 해결 방안과 같았다. 지금과 같이 일자리가 없고 편의시설이 없다면 전북에서 못 살 것 같다는 게 아이들의 말이다.

반장 서예설(11) 양은 "예전에는 관심 없었는데 뉴스와 책을 통해서 인구가 감소한다는 것을 봤다. 저는 전북에서 살고 싶다. 어른이 돼서도 살려면 깨끗한 환경이 필요할 것 같다. 일자리도 있어야 하고 마트나 놀이 시설이 더 있으면 좋겠다. 그러면 사람도 많아지고 아이들도 많이 낳을 것 같다"고 했다.

아이들은 앞으로도 사회 문제에 대해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어른들이 저희의 생각을 꼭 들어 주셨으면 좋겠다. 우리 사회를 더 좋게 만들 수 있는 아이디어를 많이 생각해 보겠다"고 입을 모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