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20일 도보 통해 고시
 
   후백제 전주의 북쪽을 방어했던 종광대 토성이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전북자치도는 지난 20일 전주시 노송동 일대 종광대 토성을 도 문화유산(기념물)로 지정·고시했다.
종광대 토성은 1530년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전주부 고적조에 견훤이 쌓은 고토성으로 기록돼 있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 '여지도서'와 '대동지지', '완산지'에도 관련 내용이 확인된다. 1942년 편찬된 '전주부사'에는 후백제 도성으로 적혀 있다.
종광대 토성은 2008년 전주 종광대2구역 주택재개발사업 과정 중 지표조사로 알려졌다. 지난해 시굴·발굴조사를 거쳐 후백제 토성임이 확인됐다.
토축 성벽은 기존 반태산의 자연 지형을 적극 활용했다. 방어가 취약한 일부 부분(반태산 북쪽 사면)은 L자형 또는 U자형으로 굴착한 뒤, 토성이 밀리지 않게 바닥면에 기와 둔덕을 만들고 그 위를 다시 점토와 모래 등을 섞어 판축해 성벽을 축조했다. 토성의 정상부인 토루는 기존 지형보다 좀 더 높게 축조하고, 사면부는 토루가 무너지지 않게 판축해 보축한 양상이 확인됐다.
이러한 성곽 축조 방식은 통일신라 때 석성에서 주로 활용되는 기술을 토성 축성에도 활용한 드문 사례이다.
뿐만 아니라 정상부 토축과 사면의 경계에선 다량의 기와(기와집적부)가 확인됐다. 수습된 기와 문양은 후백제 대표 유적인 동고산성 등에서 출토된 기와와 동일한 형태의 문양, 제작 기법으로 확인됐다.
한편 전주시는 종광대 토성이 전북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만큼 앞으로 역사문화환경 보존구역에 대한 고시 절차를 이행하고,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해 추가로 성곽 평면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