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로 인해 전북 지역에도 연일 심각한 폭염이 이어지면서 모든 연령층에게 무더위 쉼터 접근성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1일 전주시 덕진구는 최고 기온 35도 안팎의 무더위가 기승을 부렸다. 잠시 서있기만 해도 땀이 날 정도로 기온이 높고 햇빛이 따가운 상황이었다. 이에 몇몇 시민들은 도내 지정된 무더위 쉼터를 찾아 더위를 식히기도 했다.
이날 덕진구의 한 무더위 쉼터 인근에서 만난 최모(80대·여) 씨는 “산책을 나왔는데 너무 더워서 걷기가 힘들었다”며 “시원한 에어컨도 있어 잠시 앉아서 쉬다 나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무더위 쉼터가 모든 시민에게 출입이 쉬운 상황은 아니었다.
현재 무더위 쉼터가 대부분 노인복지관과 경로당 위주로 지정되면서 일부 중장년층과 청년층은 이용할 쉼터를 찾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유모(30대) 씨는 “아무래도 경로당이나 노인복지관은 어르신 분들이 사용해야 하는 시설이지 않나”며 “무더위 쉼터로 지정되어 있다고 해도 들어가 본 적은 없다”고 했다.
현재 도내 지정된 무더위 쉼터 6000여 개 중 4000여 개는 경로당 혹은 노인복지관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문가는 이러한 상황이 시민들의 무더위 쉼터 접근성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해동 계명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는 “경로당이나 노인복지관은 모든 시민이 마음 편하게 들어갈 수 있는 장소는 아니다”며 “특히 취약계층은 경제적, 위생적 문제로 더욱 출입을 부담스러워하는 경우가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기후변화로 인해 폭염 강도와 일사량이 강해지면서 고령자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활동하는 근로자, 청년들도 온열질환에 노출된 상황이다”며 “경로당 이외에도 누구나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을 무더위 쉼터로 추가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최근 3년(2023~2025년 8월)간 도내에서 발생했던 온열질환자 429명 중 227명은 60대 이하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전북도는 무더위 쉼터를 추가 확보하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북도 관계자는 “행정안전부에서도 꾸준히 무더위쉼터 접근성 확대 및 개편을 권장하고 있다”면서 “경로당과 노인복지관 이외에도 관공서 등 공공청사를 최대한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편의점과 은행 등 개인 시설과도 협약을 통해 무더위 쉼터를 확보하려고 시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무더위 쉼터로 지정된 특정 계층 이용 시설도 여름철에는 최대한 개방하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요금이나 관리비 등 문제가 있어 더딘 측면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는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쉼터 계획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해동 교수는 “무작정 숫자만 확보할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좀 더 편하게 입장해서 쉴 수 있도록 만들 방법을 고민해야 무더위 쉼터 정책이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며 “야외에서 근로하는 분들이나 취약계층 등 실제 시민의 의견을 반영해 무더위 쉼터를 계획하고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