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0:20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장미영의 아름다운 우리말] '브이오디 서비스'보다 '다시보기'가 좋아요

장미영 전주대 교수

△ 다시보기

 

'다시보기'는 '브이오디 서비스'를 다듬은 우리말이다. '브이오디(VOD) 서비스'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또는 텔레비전(TV)을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이나 동영상물을 언제든지 받아볼 수 있도록 해 주는 일'을 가리켜 이르는 외래어다.

 

△ 정보 통신 용어

 

정보 통신 용어인 '브이오디(VOD)'는 영어 'Video on Demand'의 두자어로 '주문형 비디오'로 풀어 쓸 수 있다. '브이오디(VOD)'는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TV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비디오 서버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사용자들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직접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게 하는 쌍방향 서비스를 말한다.

 

'브이오디' 같은 영어 두자어는 아예 영어 알파벳(로마자)으로만 쓰이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동영상 다시 보기'로 의역하여 쓰고 있다. 인터넷상에서는 주로 '브이오디 서비스'로 쓰이는데, 이 말은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또는 텔레비전(TV)을 통해 원하는 프로그램이나 동영상물을 언제든지 받아볼 수 있는 일을 가리킨다. 이 때 보는 도중에 일시 정지시킬 수도 있고 느린 속도로 보거나 반복해서 볼 수도 있다.

 

△ 통신 서비스

 

'브이오디(VOD)'는 초고속 통신망에서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의 하나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조작하여 원거리 컴퓨터에 저장된 비디오 정보를 검색한 후 원하는 비디오를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업자는 통신망을 통하여 해당하는 비디오 영상과 소리를 전달하여 준다.

 

요즘은 홈페이지를 통해서 방문자들에게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가 많아졌다. 지자체나 종교 쪽에서도 마찬가지로 인터넷 방송 VOD 서비스를 소홀히 하지 않는다. 이용자들에게 VO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인터넷망 등을 통하여 고화질의 영상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용자의 PC나 TV로 뿌려주고 제어해주는 VOD서버가 요구된다.

 

△ 이렇게 쓰세요

 

산간 오지의 교육환경은 다시보기도 띄우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시보기를 통해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예정이다.

 

제작사 측은 다시보기 영화관을 통해 영화를 무료로 상영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