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해 전국평균 웃돌아…최근 3년간 1802건 사고 / 이용량 등 통계자료 없어 안전시설 설치 미흡탓
최근 3년 동안 전북지역에서 자전거 사고가 매해 600건 가까이 일어나고 있지만, 자전거 인구 및 자전거 도로의 교통량 등 기초 통계자료가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전북지역의 경우 자전거 사고 사망률이 전국 최고 수준이어서 관련 시설 점검 등 전반적인 안전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새누리당 황인자 의원(비례)이 안전행정부와 도로교통공단에서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지역 자전거 교통사고는 2011년 605건(사망 17명), 2012년 598건(26명), 2013년 599건(22명)이 발생,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특히 발생 건수 대비 사망자 수(사망률)는 매해 전국 평균을 웃돌고 있는 실정이다. 2011년 2.8%(전국 평균 2.2%)로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중위권을 기록했지만, 2012년 4.8%(전국 평균 2.2%)로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이어 2013년에도 3.6%(2.1%)로 나타나 전국 4위에 올랐다.
황인자 의원은 자전거 사고와 이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이유로 정확한 통계자료 부재에 따른 안전시설 미비 등을 꼽았다.
현재 전국 자전거도로는 2010년 수립한 국가 자전거도로 기본계획에 의해 날로 확장되는 추세다. 2010년 연장 구간은 총 1만3037㎞(노선수 5392개)였지만, 2013년에는 연장 구간 총 1만8281㎞(노선수 6969개)로 늘어났다.
특히 자전거 전용도로·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자전거 전용차로 등 3가지 유형의 자전거도로 중 가장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것은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다.
2013년 현재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의 연장 구간은 1만4233㎞(노선수 5766개)로 전체 노선수의 82.74%, 전체 연장 거리의 77.86%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자전거 인구에 대해 정확한 통계자료가 없고, 자전거 전용도로·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자전거 전용차로의 전체적인 교통량 및 일평균 교통량, 보행자 수에 대한 통계 역시 전무한 실정이다.
황 의원은 “자전거는 친환경 녹색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어 향후에도 자전거 인구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면서 “자전거 교통량을 상시 측정한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을 수립하는 선진국처럼 자전거 관련 기본 통계자료를 국가 DB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