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발표...향후 10년간 1000억 원 투자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결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빅 데이터 등 첨단 기술 구현을 뒷받침할 슈퍼컴퓨터가 국내 역량으로 독자 개발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4일 AI,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촉발된 지능정보사회의 구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슈퍼컴퓨터 자체개발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국가 차원에서 진행되는 최초의 슈퍼컴퓨터 개발 프로젝트에는 10년간 1000억원 이상이 투자될 전망이다.
미래부는 개발 프로젝트를 2단계로 나눠 올해부터 2020년까지 1PF(페타플롭) 이상인 슈퍼컴퓨터를, 2021∼2025년에는 30PF 이상인 슈퍼컴퓨터를 단계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1PF은 초당 1000조(10의 15제곱) 번의 부동 소수점 연산이 가능한 처리 속도를 말한다.
1단계 목표를 1PF으로 잡은 것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슈퍼컴퓨터를 개발해본 경험이 0.1PF 이하이고, 국내 재난·환경 분야 공공부문의 슈퍼컴퓨터 실수요가 1PF 내외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1PF은 또 최근 프로 바둑기사 이세돌 9단과의 대국으로 관심을 끈 구글의 AI ‘알파고’를 가동한 슈퍼컴퓨터보다 3∼5배가량 빠른 것이다.
2025년 개발완료 목표인 30PF는 알파고와 비교하면 90∼150배가량 빠른 셈이다.
미래부는 슈퍼컴퓨터 개발을 위해 한국 최고의 전문가들이 지속해서 참여할 수 있도록 ‘초고성능 컴퓨팅(HPC) 사업단’을 설립하기로 했다.
사업단은 국내외 개발 경험과 비법을 보유한 다양한 개발주체(산·학·연) 간 컨소시엄 형태로 꾸려져 이 분야의 국내 역량을 총집결할 계획이다.
사업단은 이달부터 공모를 통해 선정한다.
미래부는 또 슈퍼컴퓨터 분야의 안정적인 R&D(연구개발)를 위해 매년 100억원 안팎 이상을 지속해서 지원한다.
미래부 관계자는 “초고성능 컴퓨팅 기술은 통상 5년 후 일반 PC, 10년 후 모바일 기기로 파급된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공공기관이 외국에서 사오던 슈퍼컴퓨터 수요를 국산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