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박용진·군산대 박병선 교수 공저
중국 언어학 통해 ‘왕오천축국전’ 분석
문화·세계사·문헌학 등 다각도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된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을 중국언어학의 방법론으로 풀어낸 연구서가 나왔다.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박용진 전북대 중어중문학과 교수와 박병선 군산대 중어중문학과 교수가 함께 쓴 <왕오천축국전을 읽다> (학고방)는 중국 언어학과 언어 연구방법으로 <왕오천축국전> 을 분석한 결과물이다. 왕오천축국전> 왕오천축국전을>
박용진 교수는 지난 2013년 ‘언어접촉’의 관점으로 <왕오천축국전> 을 연구하겠다는 뜻을 세우고 박병선 군산대 중어중문학과 교수를 비롯한 연구자 6인으로 강독 팀을 꾸렸다. 왕오천축국전>
박용진 교수는 “2007년 국외연구교수로 미국 UCSB에 방문했을 때 ‘언어접촉’이라는 새로운 학문 영역을 접했다”면서 “아이에게 사줬던 책 중에 왕오천축국전을 쉽게 풀어 쓴 도서가 있었고, 중고등학교 역사시간을 통해 책의 저자와 제목만을 막연히 알고 있었던 <왕오천축국전> 을 언어접촉의 관점으로 연구해봐야겠다는 생각으로 강독을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왕오천축국전>
이후 세 차례 강독을 마친 이들은 2014년부터 <왕오천축국전> 의 언어분석을 시작했으며 총 7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2015년에는 돈황으로 향했고, <왕오천축국전> 이 발견된 막고굴의 16~17번 굴을 찾았다. 전북대학교 해외자원봉사 활동과 오프캠퍼스프로그램으로 학생들과 함께 다녀온 키르기스스탄과 중국의 실크로드 답사도 연구에 도움이 됐다. <왕오천축국전을 읽다> 는 이 모든 과정의 마지막 정리본인 셈. 왕오천축국전을> 왕오천축국전> 왕오천축국전>
특히, 이번 책에는 <왕오천축국전> 의 한국어 번역을 수정·보완했으며 원문의 내용을 한글로 옮기는 과정에서 한국어의 정확한 번역을 이끌어냈다. 더불어 한자 빈도 분석과 난해한 한자를 소개해 내용의 이해를 도왔다. 왕오천축국전>
박병선 교수는 후기에서 “우연히 혜초 스님이 만년에 머물렀다는 중국 오대산에 다녀왔다”며 “그가 지나갔던 길에서 그의 도전을 배웠고, 그 모험을 지금의 학생들에게 전해주는 것이 내 책임이고 의무인 듯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