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상근 작가, 새 장편소설 ‘폐광’ 출간
임실 구운·남산광산 양민학살사건 배경
무거운 역사적 사실을 다룬 오상근 장편소설 <폐광> (도서출판 세시)이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얼마나 행복한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폐광>
1951년 3월 14일, 구운광산(임실군 강진면 백련리 소재)과 남산광산(임실군 청웅면 남산리 소재) 입구에 산처럼 쌓아놓은 마른 고춧대와 솔가지에 불이 붙었다. 이른 바 ‘오소리작전’. 빨치산 부역자로 낙인찍힌 700여명이 폐광에 숨어있다는 것을 알고 이들을 살상하려는 작전을 벌인 것이다. 이 일로 피신해 있던 부녀자, 노인, 아이 등 수 많은 양민들이 연기에 질식돼 참혹하게 목숨을 잃었다.
오상근 작가는 소설 ‘폐광’의 배경을 여기서 가져왔다. 역사의 수레바퀴에 끼어 처참한 삶을 살아야 했지만 그 속에서도 가족과의 평범한 삶을 갈구했던 한 남자의 처절한 절규를 전한다.
우리 역사의 아픈 기억을 축으로 하고 있는 소설인 만큼 우리 민족만이 짊어지고 가야 하지만 치유할 수 없는 기억을 한 가족이 겪어야 했던 시련과 갈등으로 묘사하고 있다.
오상근 작가는 이번 소설에 대해 “배경은 감당할 수 없을 만큼 큰 사회성을 갖고 있지만, 결국은 평범한 우리의 선대 중 누군가 한 남자의 이야기를 미스터리로 꾸며보려 했다”며 “미스터리를 표방했지만 너무 사회성을 강조한 것은 아닌가 싶어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고 전했다.
이처럼 작가 스스로도 소설 <폐광> 은 무거운 이야기다. 읽는 이에게 저절로 심각한 표정을 짓게 하지만 저자의 의도는 오히려 단순하고 간단하다. 폐광>
“독자들이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가 얼마나 행복한지 그것만을 느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 소설을 썼습니다. 지금 힘들다고 느끼는 현실은 사실 행복한 일상이며, 이 일상이 앞으로 계속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참혹한 역사를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이번 책은 전북문화관광재단에서 지원하는 지역문화예술육성금을 지원받아 발간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