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운 날씨에 찬 음료 마시다 남은 컵 쓰레기통에 투척 일쑤
내용물 흘러나와 악취에 벌레까지…환경미화원 일일이 분류
 
    전주역에서 환경미화원으로 근무하는 이도이 씨(60)는 쓰레기를 수거하러 갈 때마다 양동이를 들고 간다. 쓰레기통에 얼음과 음료가 가득 담긴 컵이 즐비하기 때문이다.
이 씨는 “주말에는 한 번 수거할 때마다 음료와 얼음 때문에 5ℓ 양동이가 가득 찰 정도”라고 토로했다.
초여름에 들어서면서 30도를 웃도는 날이 늘어나느 가운데 쓰레기통에 일부 시민들이 마시다 남은 음료컵이 악취의 주범이 되고 있다. 플라스틱 컵 안에 남아 있는 음료도 일일이 분류한 후 버려야 해 환경미화원의 고충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15일 오전 전주역. 비가 추적추적 내렸지만 역은 이용객들로 붐볐다. 비가 와 날이 습하다 보니 일부 이용객들은 더위를 식히려 손에 차가운 얼음이 가득 담긴 음료 컵을 들고 있었다. 대합실에 앉아 있던 한 이용객은 기차시간이 다가오자 손에 있던 컵을 쓰레기통에 휙 던져서 버렸다. 컵 안에는 얼음과 커피가 절반 이상 담겨 있었다.
전주역의 대합실과 승·하차장에 있는 쓰레기통 9개를 확인해보니 1곳을 제외하고 모든 곳에 음료가 담긴 컵이 버려져 있었다. 커피 뿐만 아니라 타피오카 펄이 담긴 밀크티, 레몬과 같은 과일이 들어 있는 에이드 등 다양했다. 일부 쓰레기통은 음료가 흘러 쓰레기통 바닥에 깔려있는 신문지가 젖어 악취를 풍기고 벌레들이 꼬이기도 했다. 그 뿐 아니라 참외 껍질 등 음식물 쓰레기가 버려진 곳도 있었다.
박민주 씨(32·여)는 “혼자 편하자고 음료가 담긴 컵을 쓰레기통을 버리는 것은 이기적인 행동이다”면서 “좀 귀찮더라도 쓰레기를 수거하시는 분을 위해 남은 음료는 하수구나 화장실에 따로 버리고 컵만 쓰레기통에 버리는 게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전주 고속버스터미널·시외버스터미널의 쓰레기통도 상황은 마찬가지. 음료와 얼음이 담긴 컵이 수두룩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 이정현 선임활동가는 “플라스틱 컵에 음료를 구분하지 않고 쓰레기를 버리는 것은 재활용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면서 “청소노동자와 환경을 위해 귀찮더라도 음료를 구분하고 컵을 씻어서 버리는 시민의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