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원의 교통법규 위반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짐과 동시에 이들의 대기 공간인 배달대행업체(이하 대행업체) 사무실 주변 주민들의 불만도 끊이지 않고 있다. 오토바이 소음, 배달원들의 담배 연기 때문이다.
3일 오전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원룸촌 일대. 한 원룸 건물 1층에 대행업체가 입점해있었다.
대행업체 앞 도로에는 오토바이 5대가 나란히 주차돼있었다. 한쪽에서는 배달원 3~4명이 모여 담배를 피우고 있기도 했다. 그 옆을 지나가는 한 시민은 담배 냄새 때문에 인상을 찌푸리며 이들을 피해 돌아가는 모습도 보였다.
대행업체 바로 앞 원룸에 거주하는 김승민 씨(29)는 “창문을 닫아놔도 오토바이 소음 때문에 밤잠을 설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면서 “소음도 소음이지만 불과 100m 앞에 초등학교가 있어 아이들이 하교할 때 사고가 날 뻔한 장면을 목격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의 한 아파트도 사정은 마찬가지. 주상복합 형태의 아파트로 1층에 대행업체가 입점해있어 인근 주민들의 불만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아파트 주민 박성중 씨(62)는 “조용했던 아파트가 지난 5월 대행업체가 들어오고 나서부터 시끄러워지고 담배꽁초나 침 때문에 아파트가 엉망이 됐다”면서 “그나마 최근에는 주민들의 민원으로 담배를 피우는 배달원이나 공회전하는 오토바이가 많이 줄기는 했지만 여전히 시끄러운 편”이라고 토로했다.
실제로 대행업체 입구에는 ‘민원이 많기 때문에 사무실 앞에서 흡연은 절대로 하지 말아주세요’라고 적힌 종이가 붙어있었다.
문제는 이 상황을 막을 수 있는 통제수단이 없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배달주문은 휴대전화 어플로 이뤄지고, 대행업체는 작은 사무실을 운영하면서 배달원에게 주문을 연계해주는 역할만 할 뿐이다 보니 대행업체는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저렴하고 상권이 형성돼 있는 주택가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 별도의 신고나 허가 등의 절차 없이 어느 곳에서나 영업이 가능한 것도 주택가를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다.
지자체도 이와 관련한 민원이 들어오더라도 이들에 대해 단속할 수 있는 것은 오토바이 소음뿐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
이와 관련해 한 대행업체 관계자는 “주민들의 입장이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배달업계가 지속되는 이상 관련 민원은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배달원 공제조합이 설립돼 배달원들이 안전 교육이나 운전예절 교육을 체계적으로 받는다면 관련 민원이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