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덕진구 팔복동에 들어설 예정인 ‘매화지구 공원’ 조성을 놓고 민원이 속출하고 있다.
환경단체와 전주시의원 등 조성 입장이 엇갈리고 인근 주민들 사이에서도 공원 활용도를 놓고 마찰을 빚고 있어 전주시가 난처한 입장이다.
전주시는 지난 2019년 9월 추천대교~서곡광장 도로 확장 과정에서 주민들을 위한 공원 조성 계획을 세웠다. 4780㎡(약 1450평) 규모에 예산 12억~15억 원을 투입해 공원 지하에는 폭우가 내릴 시 침수를 대비하는 유수지(평지나 넓은 강물에서 일시적으로 홍수량의 일부를 저수하는 곳)로 사용하고 상부에는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원형태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이었다.
시는 당초 계획한 유수지에 대한 공사를 시작해 지난 7월 지하유수지 시설을 완료했다.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하에 넣어 집중호우 발생 시 전주천에서 범람하는 물을 한꺼번에 담을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상부 공원 조성을 두고 환경단체와 인근 주민들, 송상준 시의원이 요구하는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면서 중간에 끼어있는 전주시가 이렇다 할 결정을 내리지 못해 추가 공사는 멈춰선 상황이다.
환경단체는 유수시설 조성과정에서 나온 암반을 활용한 정원식 흔적공원 형태로 조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 곳에 어린이 놀이터 등을 추가 건설해 자연친화적인 공원을 만들어 달라는 입장이다.
반면, 송상준 시의원과 인근 주민들은 게이트볼장과 연못설치를 통한 이른바 ‘실버공원’을 요구하고 있고, 인근 아파트 주민들은 분수대와 화장실, 정자, 다목적 운동장 조성을 통해 주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원조성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매화지구 공원 조성을 놓고 각기 다른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면서 공원조성 공사는 첫 삽도 뜨지 못 한채 잡초만 무성한 상태다.
시는 조만간 인근 마을 주민대표 및 송 의원, 환경단체 관계자를 불러 의견조율을 통해 공원조성방향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공간은 한정되어 있는데 공원 조성을 놓고 의견이 너무 많아서 애로사항이 많다”면서 “최대한 빨리 의견을 취합해 공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