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0:39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보도
보도자료

“새만금 신항, 동양의 로테르담으로 건설해야”

재경전북도민회 새만금특별위원회 “부두 20만t까지 키우고 전자동 무인시스템 도입해야”

지난 22-23일 새만금 현장을 방문한 재경전북도민회 새만금특별위원회 위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지난 22-23일 새만금 현장을 방문한 재경전북도민회 새만금특별위원회 위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새만금 신항을 동양의 로테르담으로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재경전북도민회 새만금특별위원회(위원장 유인수 인스코비 대표)는 23일 “새만금 신항 규모와 시스템을 전면 재조정해야 한다”며 “새만금 신항을 ‘동양 최대의 로테르담’항구, 중국 상하이(上海)를 능가하는 ‘아시아 최대의 환적항’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인수 위원장은 “정부는 현재 앞으로 조성될 새만금 공단 지역의 물동량만을 감안해 새만금 신항을 5만t급 9개 선석 규모로 추진하고 있다”며 “황해와 아시아권 국가들의 물류가 급증하는 환황해시대를 맞아 새만금 신항이 전북은 물론 전국을 배후지로 하는 항만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접안규모를 대폭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만금 신항은 해안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수심이 깊고 간만의 차가 2m에 불과한 데다 강과 떨어져 있어 매년 준설할 필요고 없다”면서 “대형 선박의 접안에 유리한 천혜의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특별위원회 위원 김남석 박사는 “새만금 신항 중 첫 2선석이 완공되는 2025년이나 특히 9선석이 모두 건설되는 2040년이 되면 전국 대부분의 항구가 모두 스마트 항구로 바뀌어 있을 것”이라며 “새만금 신항 역시 컨테이너와 잡화물 모두 전자동 무인시스템을 갖춘 스마트 항구로 개발돼야 한다”고 말했다.

장기철 도민회 수석부회장은 “현재 추진 중인 새만금 신항의 규모를 키우고 전자동 무인시스템을 갖춘 스마트 항구로 건설해야만 새만금 신항만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지금과 같은 항구 규모는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또 다른 ‘불 꺼진 군산항’을 건설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양충모 새만금개발청장은 “현재 스마트 항구가 대세이고 선석 규모도 크게 늘려야 한다는 전문가와 지역민의 목소리를 잘 알고 있다”며 “최선을 다해 이런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전북도민회 새만금특위는 항만 전문가와 기업인, 언론인 등으로 구성됐다. 특위는 전문가와 지역민의 의견을 다음 달 중 대통령 후보들에게 전달해 대선 공약으로 채택하도록 요구할 방침이다. 아울러 새만금 단지가 세계 최대의 최첨단 농생명 바이오 연구단지와 관광생태단지로 조성되도록 연구와 캠페인 활동을 벌여나가기로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