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부터 벌초 시즌까지 연간 벌쏘임 사고 집중
소방청, 지난달 30일 부터 벌쏘임 사고 주의보 전국 발령해
매년 8월부터 벌초 시기 사이 벌 쏘임 사고가 집중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방당국이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7일 전북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최근 전북지역에서 3년 간(2020∼2022년) 발생한 벌 쏘임 사고는 1346건이었다.
월별로는 8월이 424건으로 가장 많았고, 9월 377건, 7월 248건, 10월 128건, 6월 57건, 11월 44건, 5월 29건, 4월 25건, 12월 5건, 2월 4건, 3월 3건, 1월 2건 순이었다.
벌 쏘임 사고는 주로 7월부터 9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1346건 중 77.93%인 1049건이 이 시기에 발생했다.
이는 보통 장마가 끝나는 7월 말부터 기온이 본격적으로 상승하면서 주로 벌초가 이뤄지는 9월까지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지기 때문이라는 것이 도소방본부 측의 설명이다.
벌 쏘임 사고로 인한 사망 사고도 끊이지 않고 있다.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3년 간 벌 쏘임 사고로 전국에서 29명이 숨졌으며, 2020년 7명, 2021년 11명, 2022년 11명이 벌에 쏘여 목숨을 잃었다.
이에 소방청은 지난달 30일 벌 쏘임 사고 ‘주의보’를 발령하고, 벌 쏘임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소방 당국은 등산과 벌초 등 야외 활동 시 △흰색 계열의 옷 착용 △향수, 화장품, 스프레이 종류 사용 자제 △탄산음료나 달콤한 음료 자제 등을 주의 사항으로 꼽았다.
실제 국립공원관리공단의 말벌 공격성향 실험에 따르면 말벌은 검은색에 가장 강한 공격성을 보였으며, 이어 갈색과 빨간색, 초록색, 노란색 등 순으로 공격했다.
향수와 화장품, 스프레이 성분 등 후각적 자극을 주는 요소와 단 성분이 있는 음료 등에도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 관계자는 "벌에 쏘였을 경우 벌침 제거 후 쏘인 부위의 감염 방지를 위해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고,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해야 한다"며 "하지만 말벌의 경우 신속히 119에 신고 후 1시간 이내로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