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민주버스본부 전북지부(버스노조)소속 운전기사들의 시내버스 2차 파업이 진행된 가운데, 지난 21일에 이어 시민들의 출근 시간 불편이 계속됐다.
25일 전주시와 버스노조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6∼9시 31개 노선에서 88차례 버스가 운행되지 않았다. 결행률은 전주시내버스 하루 3514차례 중 2.5%이다. 지난 21일 1차 파업에는 52차례 결행돼 결행률은 1.5%였다.
버스노조는 이날 오후 막차시간대에도 운행 하지 않으면서 시민들의 불편은 계속되고 있으며, 오는 27일에도 부분파업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시는 송천과 아중지역의 결행이 이뤄지면서 인근 고등학교 주요 통학노선의 불편에 대비하기위해 마을버스 2대를 투입했다.
아울러 출근시간대 전주시내 3600여 대의 택시 증차 운행을 개인과 법인택시회사 측에 요청했다.
시는 버스노조가 사측과 협상을 계속하고 있지만, 일부 다른 노조들에게 파업동참을 요구해 파업 규모가 커지는 상황에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 시청 홈페이지 게시판과 SNS에는 일부 시 행정을 비난하는 글도 있지만 버스 회사와 버스기사들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시는 현재 시내버스 결행이 일부 노선에서 기습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전세버스 투입이 어렵고, 정확한 결행 정보를 시민들에게 사전에 안내할 수 없는 상황인 만큼 노선별 결행 상황에 맞게 탄력적 대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향후 파업이 지속되고 시민 불편이 가중될 경우 파업 노선에 전세버스를 투입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
심규문 시 대중교통본부장은 “노사 임금 협상 결렬에 따른 파업의 피해가 시민들께 그대로 전달되고, 이에 따른 버스 이용에 불편을 끼쳐드린 점 시민께 다시 한번 사과드린다”면서 “노사가 협상안 마련을 위해 적극 노력할 수 있도록 중재하고, 시내버스가 빠른시일내 정상 운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전주시 누리집(www.jeonju.go.kr)과 전주시 교통정보센터(www.jeonjuits.go.kr), 전주버스 어플 등을 통해 파업에 따른 결행 노선을 안내하고, 비상대책 상황실을 통해서 문의 전화에 응대하고 있다. 시내버스 파업과 결행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전주시 시내버스공동관리위원회(063-272-8102, 8103), 전주시청 버스정책과(063-281-2644, 2399, 2401)로 문의하면 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