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배달앱 업체들의 '무료배달' 서비스가 시행된 가운데 이 서비스가 오히려 자영업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무료배달 서비스는 소비자들의 배달 이용률을 높일 수 있지만, 일부 프랜차이즈 매장부터 이뤄지고 있는 판매액 대비 수수료 부담규모가 커지면서 자영업자들의 수익 감소로 이어질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3월 '쿠팡이츠'가 쿠팡 유료 멤버십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배달비 무료 혜택을 선언한 데 이어, '요기요'와 '배달의민족'도 무료배달 구독 시스템을 확대 시행하고 있다.
배달 수수료가 부담스러워진 일부 자영업자들과 프랜차이즈 업체는 음식가격을 올리거나 포장과 배달 가격을 상이하게 책정하는 등의 대안을 내놓고 있어 배달앱의 이익을 위해 자영업자와 소비자만 손해를 보고 있다는 하소연이 나온다.
시민 김지영 씨(50대·전주시 금암동)는 “물가가 많이 올랐으니, 음식가격이 오르는 것은 이해하지만 매장 가격과 배달 가격이 다른 것은 이해되지 않는다”며 “매장 가격과 배달 가격이 다르니까 속았다는 생각에 기분이 썩 좋지는 않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배달앱의 무료배달 서비스가 단기적으로는 소비자들에게 매력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결국 거래당사자들의 비용 부담을 증가시키며 장기적으로는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권용주 전북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우선 구독을 통한 무료배달 서비스가 언제까지 지속 가능한 정책인지 의문이다"며 "소비자들에게 당장은 좋은 서비스로 보일 수 있으나, 결국 시장 내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한 배달앱들의 침투 전략이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소비자학 관련 교수는 "배달앱들이 시장을 독점하거나 선점하게 되면 무료배달 정책을 철회하거나 수수료를 올리면서 가격상승을 부채질하고, 결국 피해를 보는 것은 오른 물가를 마주하는 소비자들과 수수료 부담을 하는 자영업자들일 것"이라고 우려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