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5:22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자체기사

호랑이 그리는 청년작가 '김채연'…누벨백미술 '범이 사는 숲' 개인전

29일까지 누벨백미술관 '범이 사는 숲' 전시 
한국화 전통적인 문법 비껴나간 화랑이 작업물 선보여

image
김채연 작가/사진=박은 기자 

 

수년 간 호랑이만을 화폭에 그리는 청년 작가가 있다. 전북대 예술대학 미술학과에서 한국화를 전공한 스물여덟의 김채연 작가다. 그가 이토록 호랑이에 천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작가는 호랑이는 동물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세상의 힘찬 기운을 의미한다고 해석한다. 범이 주는 매서운 야생성 이면에 자연주의적 따스함이 공존하는 신비로운 동물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호랑이띠이기도 한 작가는 한국화의 전통적인 문법을 비껴가는 독특한 호랑이 작업물을 선보이고 있다. 

누벨백미술관은 청년작가발돋움전의 일환으로 김채연 작가의 ‘범이 사는 숲’ 전시를 29일까지 연다.

작가는 작품에서 화폭 위를 유영하는 호랑이들은 단순한 형상이 아닌, 작가의 내면 에너지와 자연에 대한 깊은 교감을 표현하는 존재로 시각화한다.

image
김채연 '범 내려온다'/사진=누벨백미술관 제공 

숲은 단순한 배경이 아닌 명상적 세계로, 관객을 조용히 끌어들이는 공간으로 설정된다. 특히 용명하면서도 부드러운 범의 이중성을 작가만의 감수성으로 표현해 관객에게는 ‘수호’라는 묘한 안정감을 전한다. 

작가는 “무수한 선택과 망설임 속에서 나아가는 여정, 때로는 두려움에 머뭇거리고 때로는 새로운 가능성을 향해 한 걸음 내딛는 공간. 그 속에서 호랑이는 나의 내면을 상징한다”며 “성장과 재발견의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풀어내 흔들리면서도 끝내 길을 찾는 의지의 형상을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image
김채연 '숲의시선 1'/사진=누벨백미술관 제공 

전북대 예술대학 미술학과에서 한국화를 전공한 김채연 작가는 사범대학 교육학과(미술교육)를 졸업했다. 지난해 첫 개인전 'Record : make me'(예술공간 결, 전주)를 열었고, 단체전은 신진작가발굴 기획전 Young ArtistⅡ(최북미술관, 무주), 호랑이 그림전(연석산미술관, 완주), 누벨백미술관 특별전 '젊은 고뇌 서로를 잇다'(누벨백미술관, 전주) 등 다수 참여했다.

전시 관람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토요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가능하다. 일요일과 월요일은 휴관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누벨백미술관 #김채연 #범이사는숲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