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정부, 국회 요직에 전북인사 두루 포진…내년 국가예산 달라질까

국토부·예결위·법사위까지…전북 정치권, 여권 핵심에 대거 포진
전북도, 10조 예산 요구…기재부 설득 위한 실시간 대응체계 가동
기술·문화·기관유치 등 차세대 전략사업 대거 포함…전북 정치력 시험대

image
11일 전북특별자치도청에서 열린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전북 정치권과 전북도, 각 시군 단체장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전북도.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예산정책협의회에 전북 국회의원과 단체장들이 총출동했다. 특히 이번 정부에서 내각과 국회, 여당 핵심에 전북 출신 인사들이 대거 포진한 가운데, 올해 협의회는 예산 확보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컸다.

13일 전북자치도와 지역 정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도청에서 열린 ‘2026년도 국가예산 확보 및 지역현안 해결을 위한 예산정책협의회’는 전북 정치의 위상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줬다는 평가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인사들의 면면은 과거와 확연히 달랐다.

이날 회의는 기재부 2차 심의를 앞두고 10조 10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점검 자리였다. 특히 장관급부터 국회 요직, 대통령실 주요 보직까지 전북 출신 인사들이 전방위로 포진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실질적 성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김윤덕 의원(전주갑)은 민주당 사무총장을 지낸 3선 국회의원으로 협의회 당일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다.

전주시 국립후백제역사문화센터와 전주 KTX역세권 개발 등을 주도해온 전주 실무형 국회의원으로 평가받는 만큼, 이번 정부에서 전북 몫을 찾는 데 큰 역할이 기대된다.

정동영 의원(전주병)도 통일부 장관에 내정돼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다. 한병도 의원(익산을)은 예산심사를 총괄하는 국회 예결위원장을, 이춘석 의원(익산갑)은 국회에서 법제정을 총괄하는 법제사법위원장을 맡고 있다. 아울러 정성호(법무), 조현(외교), 안규백(국방) 등 내각 핵심 후보자들도 전북 출신이거나 연고가 있는 인사들이다.

정치권은 중앙 권력의 핵심에 선 지금이야말로 전북의 몫을 되찾을 적기라며 예산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드러냈다.

김윤덕 의원은 이날 협의회에서 “정부가 성공해야 전북이 성공할 수 있다”며 “부족하지만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각오로 전북 발전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올해 시군별 건의 사업은 단순한 지역 숙원 해소 수준을 넘어, 차기 국정과제 선점과 지역 전략산업 육성까지 겨냥한 구도가 뚜렷하다.

전주는 AI신뢰성혁신허브센터와 국립 모두예술 콤플렉스 등 ‘문화기술’ 결합형 국가사업을 내세워 수도권 기능 일부를 선도적으로 분산하겠다는 포석을 두고 정치권에 협조를 요청했다.

군산은 7000억 원대 새만금 공공폐수처리장을 통한 탄소중립·수변관리 주도권을 잡겠다며 정치권에 지원을 요청했다. 익산은 국립식품박물관과 재난안전 클러스터 조성사업에 힘을 모아달라고 했다.

고창은 대규모 서해안 철도사업을 재차 꺼내 들며 대도시급 SOC 투자 확대 협조를 바랐고, 남원·정읍·완주 등은 제2중앙경찰학교, 펫푸드 플랫폼, 수소차 안전검사센터 등 차세대 공공기관 유치에 초점을 맞췄다.

나머지 군 단위 지역들은 하수도·폐수처리·농공단지 개선 등 체감형 기반시설에 주력하며 실질 예산 투입을 요청했다. 도는 이 같은 사업들 간 형평성과 파급력을 감안해, 국정과제 연계 가능성이 높은 사업부터 정치권과 함께 선별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이를 위해 도는 대통령 공약과 국정과제 중심 100대 중점사업을 선정해 서울·세종 상주반을 운영하며 실시간 대응체계를 가동 중이다. 

김관영 지사는 “이번 협의회는 격식보다 실질 중심으로 진행됐다”며 “이제 예산은 우리 손에 달렸다. 실행력으로 증명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기대감이 높아진 만큼 성과에 따른 평가는 더욱 냉정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지역 정계 관계자는 “이 정도로 사람과 자리가 다 갖춰졌는데도 예산에서 소외된다면 그것은 구조의 문제가 아니라 능력의 문제”라며 “국정의 중심에 선 지금이야말로 전북이 체급을 증명할 기회”라고 말했다.

이준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