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지난 2017년 조업 중단 이후 부분 가동되고 있는 가운데 신동식 한국해사기술 회장이 'MRO(유지보수, 수리, 정비) 전문 조선소로의 전환'을 새로운 활용 방안으로 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는 군산지역의 완전 재가동 바람과는 차이가 있지만, 전문가들의 현실적인 진단이라는 점에서 지역 사회의 다양한 의견수렴 및 심도 있는 논의가 요구된다.
신동식 회장은 이달 24일 전북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군산조선소의 완전 재가동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제가 직접 군산 현지 상황을 상세히 진단한 것은 아니지만, 제가 신뢰하는 두 전문가 팀에게 문의한 결과를 종합해서 말씀드리겠다"며 "과거와 같은 신조선 건조 기지로서의 완전 재가동은 여러 한계에 부딪힐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고 밝혔다.
현재 군산조선소는 군산시 등의 물류비 보조금 지원으로 약 10만 톤 규모의 블록 공장으로 부분 가동되고 있다.
그러나 신 회장은 "물류비 지원이 중단될 경우 다시 조업 중단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또 "조수간만의 차가 커 입지적으로 단점이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면서 "가장 큰 문제로는 2017년 조업 중단 이후 조선소 주변의 협력사와 숙련된 인력 풀이 완전히 붕괴되었다는 점이 꼽혔다"고 분석했다.
신 회장은 "이처럼 입지적 단점과 인프라 붕괴를 보완하여 과거처럼 신조선 건조 기지로 재가동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라며 "단순히 호황기 물량을 소화하는 역할로는 군산조선소가 성장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두 전문가 팀의 의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된 대안은 MRO 전문 조선소로의 전환"이라고 설명했다.
신 회장은 한국의 대형 조선소들이 대부분 신조선 건조에 집중하고 있어, 선박 수리 전문 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라는 점을 그 배경으로 꼽았다.
그는 구체적인 방안으로 "LNG 선박의 MRO 특화 단지로 조성하거나, 해상풍력 기자재 특화 단지로 조성한다면 새로운 활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블록 생산을 확대하고 소형 관용선 수요에 대응하는 방안도 제시됐다"고 소개했다.
신 회장은 "군산조선소는 단순한 신조선 건조 기지를 넘어 유지보수, 개조, 해양 플랜트 등 특화된 분야에 집중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