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10:43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시·공연
보도자료

함께 만드는 진짜 축제⋯제3회 전주예술난장 열린다

전주문화재단, ‘제3회 전주예술난장’ 이번 주말 팔복예술공장 일원서 개최
전국 예술가 35개 팀 참여, 다양한 콘텐츠로 시민과 함께하는 참여형 축제 선봬

image
2025 전주예술난장 포스터/사진=전주문화재단

가을빛이 깊어가는 팔복동이 예술로 들썩인다.

문화도시 전주의 대표 예술축제, ‘2025 전주예술난장’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팔복예술공장 일대에서 펼쳐진다.

올해 난장은 ‘도시의 거리와 공간이 곧 무대가 된다’는 취지 아래, 2036 하계올림픽 유치의 염원을 예술로 풀어낸다. 전주시와 전국 예술가, 지역 협의체, 팔복산단 기업체 등 다양한 주체가 힘을 모아 ‘예술로 하나 되는 도시’를 만든다.

2023년 첫선을 보인 전주예술난장은 매년 새 얼굴의 예술가들이 모여 실험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공연을 선보여왔다. 지난해에는 170여 팀이 지원했고, 올해는 200여 팀 중 35개 팀이 최종 선정돼 전주 시민과 함께 도시를 축제의 무대로 바꿀 준비를 마쳤다.

image
2025 전주예술난장 현장지도/사진=전주예술난장 공식 SNS캡쳐

축제의 문을 여는 개막식 ‘뛰어! 전주, 울려! 난장’(17일)은 전통과 미래가 어우러진 대규모 퍼포먼스로 시작된다. 이후 18일과 19일에는 서커스, 마임, 마술, 음악, 전통연희, 무용, 미디어아트 등 거리예술의 모든 장르가 팔복동 구석구석을 물들인다.

올해 행사는 예술인 기획단 ‘장단’과 전주문화재단이 손잡고 만든 민·관 협력형 축제 모델로, 전국 예술인뿐 아니라 ESG 협의체, 주민 협의체, 지역 기업체까지 참여해 ‘함께 만드는 진짜 지역축제’를 그린다.

주요 프로그램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거리예술 공연’ △도심 속 미술관 ‘공공미술 프로젝트’ △예술인 기획단을 직접 찾아보는 미션형 이벤트 ‘장단을 맞춰라!’ △합리적 가격으로 미술품을 만나는 ‘예술장터’, △푸드·플리마켓이 어우러진 ‘마을장터’, △ESG 체험형 공간 ‘예술놀이터’ 등으로 다채롭게 꾸며진다.

거리예술 대표작으로는 유럽을 무대로 활약 중인 ‘갈매’의 관객참여형 대형 퍼포먼스를 비롯해, 전통 줄다리기를 현대 서커스로 풀어낸 안재현(봉앤줄)의 공연, 애니메이션 크루의 팝핀쇼, 전통그룹 텅연의 LED 전통놀이 한마당, 헤르츠 30인조 오케스트라의 영화음악 콘서트까지 — 장르의 경계를 넘어선 무대가 펼쳐진다.

참여형 프로그램 ‘장단을 맞춰라!’는 축제 곳곳에 숨은 ‘장단’ 멤버를 찾아내는 시민 미션으로, 현장에서 예술가를 직접 만나 굿즈를 받는 등 오락성과 현장감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시민과 예술가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마을장터’에서는 먹거리와 볼거리, 체험이 어우러지고, ‘예술놀이터’에서는 100여 종의 리사이클링 놀이기구와 악기를 활용한 친환경 놀이마당이 열린다. 아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뛰놀며 ‘예술의 기운’을 만끽할 수 있는 자리다.

하형래 예술인기획단 ‘장단’ 단장은 “전주예술난장은 단순한 축제가 아닌, 도시와 예술이 만나는 실험의 장”이라며 “산업 유산과 예술이 공존하는 팔복예술공장을 배경으로, 예술가와 시민이 함께 전주가 예술의 도시로서 지닌 힘을 증명하는 자리”라고 올해 전주예술난장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그는 “모두가 함께 만드는 축제를 통해, 모두가 모인 공공의 장에서 모두가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며 "예술의 자유로움과 도시의 활기, 그리고 미래와 전통이 어우러지는 거이의 무대 전주예술난장에서 관객 여러분을 기다린다"고 말했다. 

제3회 전주예술난장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전주문화재단 홈페이지 및 공식 SN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주문화재단 #팔복동 #팔복예술공장 #전주예술난장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