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울병의 원인과 치료, 관리법에 대한 강연이 20일 전북대병원에서 열린다.
전북대병원은 2008년 조울병의 날 행사를 20일 오후 3시부터 병원 로비와 지하 1층 대강당 모악홀에서 연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전북대병원 정신과 정상근 교수가 강사로 나서 조울병에 대한 강연을 하며 병원을 찾은 이들은 조울병 선별 검사와 전문의의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조울병은 정신이 상쾌하고 흥분된 상태와 우울하고 억제된 상태가 교대로 나타나거나 둘 중 한쪽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병으로, 분열병과 함께 2대 정신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 조울병은 우울증이나 조증이 발생했을 때 지속기간이 6~9개월에 이르는 심각한 기분 변화를 뜻한다.
대한우울조울병학회에 따르면 조울병 환자는 인구 100명당 1~2.5명에 달하며 5~8명이 조울병 관련 질환을 앓고 있을 정도로 조울병은 흔한 질환이 됐다. 우울증과 증상이 비슷하지만 치료법은 달라 항우울제로만 치료할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전문의의 상담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전북대병원 정상근 교수는 "조울병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실직, 대인관계 문제 등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해져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진다"며 "심한 경우 소화기, 내분비계에 질병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살에도 이를 수 있는 만큼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