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9:14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장미영의 아름다운 우리말] '아이젠' 대신 '눈길덧신' 이라 하세요

▲ 눈길덧신

 

'눈길덧신'은 '아이젠'을 다듬은 우리말이다. '아이젠(eisen)'은 '등산화 바닥에 부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등산 용구'를 통틀어 이르는 외래어다. 독일어로는 슈타이크아이젠(steigeisen), 영어로는 크램펀(crampons)이라고도 한다.

 

▲ 눈길덧신의 진화

 

아이젠(eisen)은, 주로 겨울 산행 시 빙벽을 오르내리거나 빙판길을 걸을 때 사용한다. 예전에는 큰 산을 오를 경우에만 사용했다. 그런데 요즘은 아이젠이 가벼워져 눈 위를 걸을 때나 간단한 산행에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아이젠은 강철로 된 스파이크 모양이어서 아이젠 발톱에 한쪽 다리의 옷이 걸려 넘어지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아이젠은 등산화 밑에 덧신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의 감각이 둔해져서 사고의 위험을 미리 감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처음 아이젠을 착용할 때는 신경을 써서 발과 발 사이를 조금 떼고 걷는다는 느낌을 갖도록 해야 한다.

 

▲ 새해맞이 아침 산행

 

새해가 되었다. 새해에는 특별히 새로운 결심으로 새 삶을 맞이하려고 남다른 결심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새로운 각오를 다지는 데는 산행만큼 좋은 것이 없다. 혼자서도 좋지만 가족 단위 또는 연인끼리, 아니면 마음을 같이 하는 친구들끼리 서로 도와주며 산에 오르면 차가운 겨울 공기마저 마음을 훈훈하게 덥히고 만다.

 

행복한 새해를 시작하려면 안전 점검부터 해야 한다. 위험을 부르는 미끄러움에 대비하는 것이다. 세상도 산행과 마찬가지다. 뇌진탕, 골절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 요인을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고 실천하는 노력이 있어야 드디어 산 정상에서 환하게 웃을 수 있는 것이다.

 

산에서든 세상에서든 미끄러지지 않으려면 덧신이 필요하다. 눈길덧신이든, 마음의 덧신이든.

 

▲ 이렇게 쓰세요

 

그가 신은 눈길덧신에는 젖은 눈이 덩어리가 되어 붙어 있었다.

 

눈길덧신은 신발 바닥과 거의 같은 크기의 것을 구입해야 한다.

 

눈길덧신은 탈부착이 쉬워야 한다.

 

/ 장미영(전주대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