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17:50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문화마주보기
일반기사

다시 '사무사(思無邪)'를 생각함

▲ 복효근 전북작가회의 회장
시가 무엇인지, 어떤 모습이어야 할지를 설명하는데 인용되는 고전적인 문구가 있다. "시삼백 일언이폐지왈 사무사(詩三百 一言以蔽之曰 思無邪)"가 그것이다. 논어 위정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씀으로, "시경 삼백 편의 내용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생각함에 간사함이 없다는 것이다."로 번역될 수 있겠다. 주로 정치를 논하는 위정편에서 이 말을 한 것으로 보아 위정자들에게 시에서 추구하고 있는 '사특함이 없는 경지'를 언급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올바른 시 정신을 참구할 때도 회자되는 구절이다.

 

이 구절을 두고 뒷날 많은 성현들이, '시 자체가 그러한(사무사) 것이다, 시를 쓰는 시인의 마음이 그래야 한다, 시를 대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그러해야 한다.' 등 여러 가지 해석을 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해석이 옳다고 말하기보다 이 세 가지를 다 포함하는 말이라고 보면 되지 싶다. 시를 쓰는 일과 그 결과물과 그것을 바라보는 눈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지 않는가?

 

80년대가 지나고 '시의 시대는 갔다.'고 시의 위기를 말하던 때가 있었다. 이는 일면 옳고 일면 잘못 진단한 말이다. 인터넷 매체의 보급과 함께, 또한 문예지의 전성시대를 맞이하여 시는 오히려 양적인 면에서 어느 시대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크게 성장, 확산되고 있다. 시인 지망생들은 중장년 혹은 노년층까지 다양하고 등단 시인이 아니더라도 블로그나 인터넷 카페에서 시인의 이름으로 왕성하게 창작활동을 하고 있음도 보게 된다. 수많은 문학 동호회 활동도 왕성하다. 문학 가운데에서도 특히 시는 일대 부흥기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동호인끼리 만든 조그만 문예지에 작품을 발표해도 시인으로 호칭하며 시집도 내고 무슨 문학상도 주고받고 하는 걸 보면 이제 우리나라는 가히 시의 나라라 해도 손색이 없다. 좋은 일이다. 온 국민이 시인이라고 해서 나쁠 게 무엇인가?

 

그러나 그 안을 들여다보면 또 개탄할 일이 적지 않다. 옛사람들은 마음의 사특함을 몰아내고 인격을 도야하려는 마음에서 서 · 화와 함께 시를 수양의 기본 덕목으로 삼았다. 앞서 인용한 '사무사'의 경지를 시로써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다가 생애의 어느 대목에 이르러 뒷날에 남을 가편을 쓰기도 하는데, 요즈음은 이러한 시정신은 돌아볼 틈 없이 오로지 시인의 이름을 얻고자 시를 학습하고 시를 쓰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름이 좀 있다하는 시인에게 첨삭지도를 받고 그렇게 해서 조립한 작품을 연줄이 닿는 문예지에 싣고 등단을 거치는 예가 적지 않다고 들었다. 그 사이에 금품이 오고가는 사례도 없지 않다 한다. 그렇다면 정말로 시의 시대는 갔고 시는 위기가 아닐 수 없다.

 

시인은 벼슬이 아니다. 등단은 면허증이 아니다. 명함에 시인 아무개라고 박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다. 한 페이지가 넘도록 약력을 채워 쓰는 게 중요하지 않다. 허욕과 허장성세는 사무사의 시정신과는 너무 먼 거리에 있다. 시인은 자신을 돌아볼 줄 아는 사람이다. 온 인격과 영혼을 쏟아 부어서 이루어내야 할 것이 시이다. 시인이라는 허명을 얻기보다는 제대로 된 독자, 시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한 사람이 되는 것이 먼저다. 이 말은 물론 이름을 크게 얻은 시인에게도 해당되는 말일 것이다. 시인 그 이름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것이 참다운 시정신일 것이므로.

 

△ 복 회장은 계간 '시와 시학'으로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마늘촛불' '따뜻한 외면' 등이 있다. 현재 남원 금지중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