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추위를 피하기 위해 난방 등 각종 에너지 사용이 늘어나고,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화재가 발생함으로써 각별한 준비가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화재로부터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화재는 인명피해는 물론 그 공간에 깃든 소중한 추억 그리고 현재와 미래를 모두 잿더미로 만드는 재앙임에는 틀림없다.
평소 다음과 같이 주의를 기울이고 대비한다면 추운 겨울에 저녁이 있는 삶을 안전하게 지켜낼 수 있다.
첫째, 각 가정에 단독경보형화재감지기를 설치하고 소화기를 꼭 비치하자. 단독경보형감지기는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나 열에 의해 감지센서가 작동하고, 수면 중이거나 부재 시 가족 및 이웃에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소화기는 화재가 난 장소에서 불씨의 규모가 크지 않은 때에는 충분한 소화효과를 발휘하므로 소방차 1대가 할 일을 감당한다고도 볼 수 있다. 반드시 가정이나 사무실 등 공간에는 있어야 하는 안전 필수품이다.
둘째, 전기배선이나 자주 쓰는 콘센트 등 전기제품을 살펴보자. 주택화재의 주범이 전기인 경우는 많은 통계를 통해 확인할 수가 있다.
특히, 문어발식 전기 사용은 자제하고, 사용치 않는 플러그를 뽑아 두면 안전하기도 하고 전기료도 아낀다.
셋째, 음식을 조리할 때 주의하자. 장시간 조리해야 하는 곰국을 끓이거나 빨래를 삶다가 잊고 외출해 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위험한 상황은 가족, 친구, 이웃이라고 예외일 수는 없다. 사전에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고,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화재감지기나 소화기를 비치하고, 전기기구 등을 교체하는데 그리 큰돈이 들지 않는다. 몇 만원으로 소중한 내 가족을 화마로부터 지켜낼 수만 있다면 충분히 투자할 만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