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스라인을 어기는 사람들은 헌법에 보장된 집회·시위이므로 자신들의 행위가 정당하다는 논리를 내세운다. 하지만 폴리스라인은 혼잡한 집회·시위 현장에서 시위참가자는 물론 일반 시민의 안전을 보장해 주는 ‘생명선’이자 최소한의 공공질서 확보를 위한 최후의 보루다. 따라서 폴리스라인을 무력화하는 행동은 고스란히 시민들의 불편으로 이어진다.
미국의 경우 폴리스라인이 ‘법의 상징’처럼 여겨져 넘어서는 즉시 체포를 당하게 되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현실은 이에 비해 매우 관대했던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는 질서유지선을 경찰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상당시간 침범, 손괴, 은닉, 이동 또는 제거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효용을 해친 자는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만원 이하의 벌금, 구류 또는 과료에 처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향후 1년이하 징역 또는 1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강화토록 집시법 개정을 추진 중에 있다.
선진화된 시민의식에 발맞추어 집회·시위관리 역시 국민의 헌법적 기본권을 위축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관된 원칙을 정하고 확고한 법 집행을 유지할 필요가 있겠다.
과거 민주화를 이루어낸 집회·시위의 순기능에 더하여 타인의 기본권도 배려하는 시민 윤리의식이 집회 참가자들에게 요구되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