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의 거리, 너와 나의 거리
#표지.
문화예술의 거리, 너와 나의 거리
#1.
(한산한 거리, 앉아 있는 사람)
#2.
(생각하는 사람)
“원도심이 계속 침체되는데……. 여길 살릴 방법이 없을까?”
#3.
(붓을 든 미술가, 조각칼 든 공예가, 기타 든 음악가 등)
“걱정 마세요! 문화와 예술이 있으니까요!”
#4.
(북적북적해진 거리)
“역시! 문화예술의 거리가 최고야!”
#5.
(스크린을 놓고 프리젠테이션 중인 사람)
“……라는 것이 이 사업의 핵심 내용입니다.”
(오-오- 하는 반응)
#6.
5년 뒤.
#7.
(남원 예가람길 사진 배경)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두리번거리는 사람 그림)
#8.
(전주 동문예술거리 사진 배경)
(짐 싸서 나가는 예술가)
“에휴, 월세 싼 웨딩거리로 가야지……”
#9.
“거의 100억 원 가까이 들였다면서 이게 어떻게 된 거죠?!”
#10.
(공무원)
“그놈의 실적 때문에 빨리빨리 해치우려 하다 보니 그만……”
#11.
(예술가)
“사실 예견된 결과였죠. 차별화된 기획도 없었고요.”
#12.
김동영 전북발전연구원 연구위원
“문화예술의 거리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 예술인들이 모이고 그들의 생활 형식에 맞춰 자연스럽게 공간이 변하는 거죠.”
#13.
(알겠다는 듯한 표정의 사람)
“예술인들이 공간의 주인공이 될 수 있게 하고, 관은 이를 돕는 구조가 돼야 한다는 거네요.”
#14.
“연구원이나 실무자들은 이런 사업의 성과가 드러나려면 10년 정도는 지나야 한다고 하네요.”
#15.
(짐 싸서 나가는 남원시)
(말리는 사람)
“성과가 없다고 해서 사업을 중단할 게 아니라, 보완해서 더 아름다운 거리를 만들어야죠!”
#16.
“문화와 예술은 도시의 품격. 더 멀리 내다보며 함께 만들어 가야 하지 않을까요?”
/기획 신재용, 취재 김보현, 구성 권혁일, 그림 이권중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