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이 슬픔이 찾아오면 손님 모시듯 받아들여라 더크게 당하지 않으려면
노인복지와 효를 연구하고 교육한다는 ‘효 문화원’ 개강식에 갔다. 부원장 하는 친구를 응원하기 위함이었다. 한 달에 한 번 하는 동기 동창 모임에서 그는 효를 이야기하려다 제지당한 적이 있다. ‘고리타분하다, 진부하다, 도(道)는 안다.’ 뭐 이런 식으로.
수염, 한복, 건(巾), 큰절, 이질감……. 뗄 수 없는 선입감과 예법에 대한 부담으로 온몸이 뻣뻣해졌다. 잘 버텨보자는 생각뿐 이었다. 그런데 회의실에 들어서는 순간 입을 딱 벌리지 않을 수 없었다. 장내에는 말쑥한 차림의 신사 숙녀가 가득 모여 있었다. 효를 하는, 효를 하려는 분들이었다. 이미 수백 명이 교육을 받았고 많은 사람이 ‘효 지도사’로 활동한다고 했다.
여기서는 효를 HYO라고 쓴다. Harmony of Young & Old의 이니셜이다. ‘자녀세대와 부모세대의 화합.’을 목표로 한다. 또 한 세대가 30년이란 사실을 강조한다. 30살, 60살, 90살, 120살 이렇게. 윗사람과 아랫사람 하던 이분법적 효와 성질이 다르다. 자기적, 가정적, 사회적, 국가적으로 구분하여 접근한다. 당연히 대상은 전 연령층이다.
내가 아는 효(孝)는 ‘어버이를 잘 섬기는 일.’ 이다. 그저 부모님 잘 모시면 효자라고 생각한다. 사회적, 국가적 효를 간과한 것이다. 모임에 나온 친구들 또한 그랬으려니 싶다.
이런 시도가 있구나.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로 접어들었고, 1인 가구가 30%를 넘어섰다는 통계가 있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 소위 1~4세대가 섞여 살고 있다. 문화나 가치관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영화 <은교> 에는 ‘이적요’라는 국민시인 이 나온다.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제자 ‘서지우’에게 작품, 명성, 문학적 영감까지 다 빼앗기고 그의 문학상 시상식에서 축사를 한다. “너희 젊음이 너희 노력으로 얻은 상이 아니듯이 내 늙음도 내 잘못으로 받은 벌이 아니다.” 세상에 이런 명대사(사실은 ‘로스케’의 시를 인용했지만)가 어디 있을까. 감탄했다, 그런데 HYO라는 관점에서 보면 둘은 조화롭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은교>
영화 <수상한 그녀> 는 교수가 질문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노인을 떠올렸을 때 제일 먼저 생각나는 편견과 선입견과 이유를 말해보세요.” 학생들이 주저 없이 말한다. “검버섯, 탑골공원, 거북이, 퀴퀴한 냄새, 얼굴이 두껍다,” 등. 한 학생은 자기는 30대에 자살할 것이라며 구질구질하게 7·80살까지 살지 않겠다고 말한다. 교수는 너무한다며 질책한다. 노인 문제 전문가라고 자타가 공인하는 이 교수님, 얼마 지나지 않아 건강한 자기 홀어머니를 요양원에 보내기로 한다. 수상한>
최근 웰빙과 웰 다잉에 관한 학문 <생사학> 강의를 들을 기회가 있었다. 과목마다 일관된 주문이 있는데, ‘무엇인가 내 안에 들어오면 받아들이라.’는 것이 그것이다. ‘고통이, 슬픔이 찾아오면 손님 모시듯 받아들여라. 그로 인해 더 크게 당하지 않으려면……. 받아들이는 순간 혼자가 아님을 알게 될 것이다.’ 누구나 받아들임을 제대로 행하는 것이 하모니(Harmony) 아닐까. 생사학>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 즉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한다.’라는 공자님 말씀이 떠오른다. 왜일까.
HYO의 빠른 정착을 빈다. 또 효 지도사들의 약진을 기원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