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주력산업인 상용차산업이 일대 위기에 직면했다. 한때 세계 최대 규모의 상용차 생산기지인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을 비롯해 타타대우상용차 군산공장,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성업을 이루면서 전북경제를 견인해왔다. 그렇지만 글로벌 자동차산업의 퇴조로 인해 전북의 상용차산업도 큰 타격을 입고 있다.
한국지엠 군산공장은 3년 전 문을 닫았고 연간 1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현대차 군산공장은 연간 생산량이 4만대 선으로 뚝 떨어졌다. 타타대우 군산공장은 지난해 가동률이 60%대로 떨어진 데 이어 올해 들어 실적 부진으로 인해 구조조정이 불가피해졌다. 타타대우 노사는 지난 8월 희망퇴직 등 인력감축에 합의하고 지난달부터 희망 퇴직자 신청을 받았다. 회사 측은 애초 270여 명을 감축할 계획이었지만 지원자가 적어 신청자 110명에 대해서만 희망퇴직 시켰고 50명은 전환 배치했다.
현대차 전주공장 역시 상용차 가동률 하락에 따라 생산 인력을 줄여가고 있다. 지난 2018년 300여 명을 울산공장과 사무직 등으로 전환 배치한데 이어 추가 인력 전환배치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대차 전주공장 근로자들은 그동안 회사 측과 정부, 전라북도에 픽업트럭 등 전략차종을 전주공장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용차산업의 위기는 고용 대란을 부추길 수밖에 없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때 군산지역 실업률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인구가 대거 빠져나갔었다. 완성차업체가 생산량을 감축하고 인력을 줄이면 1·2·3차로 이어지는 협력업체들은 더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되고 결국 대량실직 사태를 초래한다.
자동차산업, 특히 상용차산업의 위기는 오래전부터 예고됐다. 글로벌 메이커들도 대대적인 구조조정과 함께 새로운 활로 찾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정부에서는 상용차산업 혁신성장 및 미래형 산업생태계 구축에 나섰고 국내 자동차 업계에서도 수소전기차, 자율주행차, 전기차 개발 생산에 골몰하고 있다.
전라북도도 미래형 상용차산업 구축을 통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상용차업계만 바라보지 말고 노·사·민·정 협의체를 통해 자구책 마련과 함께 미래형 산업 생태계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