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문을 닫은지 3년 7개월이 지났다. 문재인 대통령 앞에서 군산조선소를 2019년 재가동 시키겠다던 회사 대표의 약속도 지켜지지 않았다.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으로 현대중공업 직원들은 물론 협력업체에 대규모 실직 사태가 발생하고 설상가상으로 GM 대우 군산공장마저 문을 닫으면서 군산지역 경제는 최악의 상황에 빠졌다. 고용위기지역 지정으로 연명하고 있지만 지역경제 침체는 여전하다.
현대중공업이 지난 2017년 6월 말 선박 수주량 감소를 이유로 군산조선소 가동을 중단하면서 협력업체 86곳 중 69곳이 문을 닫았다. 협력업체와 조선업 연관산업이 붕괴됐고 근로자들은 삶의 터전을 잃었다. 조선업에 종사하던 근로자는 5250명에서 140명으로 줄었고, 이들의 가족까지 감안하면 2만여명의 생계가 피폐해졌다. 군산시민 10%에 가까운 숫자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전 세계에 발주된 LNG선 63척 가운데 21척을 수주했다. 국내 조선업계에서 가장 많은 수주량이다. 최근에는 향후 5년간 친환경 미래 선박 개발과 생산설비 구축 등에 1조원을 투자하고 올해 현대중공업의 기업공개를 추진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조선 업황이 회복되면서 선제적 투자를 통해 미래시장에 대비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차원이라고 한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업체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오는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연 평균 3510만CGT(1552척)의 선박 발주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2개사의 수주실적과 맞먹는 80억 달러에 가까운 국내 조선업계 최고의 수주실적을 올린 현대중공업의 향후 수주 전망도 밝다고 할 수 있다.
군산조선소 재가동은 현대중공업은 물론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정치권 모두가 약속한 사항인데도 무작정 기다려달라는 군산시민과 전북도민에 대한 희망 고문만 계속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6일 군산조선소 활용 여부를 논의하기 위한 전북도와의 만남도 “언론에 비춰지는게 부담스럽다”며 일방적으로 연기했다고 한다. 현대중공업은 더 이상 상황을 회피하려 하지 말고 군산조선소 재가동 여부와 일정에 대한 확실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 전북도와 정치권도 더 이상 현대중공업에 끌려다니지만 말고 강력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