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1:30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전북칼럼
일반기사

기업하기 좋은 지역으로 거듭나야

윤방섭 전주상공회의소 회장

윤방섭 전주상공회의소 회장
윤방섭 전주상공회의소 회장

기업은 지역사회를 지탱하는 뿌리이자 성장동력이다. 도시에서 기업이 하나 사라지면 인구 감소와 인재 유출, 소비 침체 등 지역사회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 기업을 성장시키는 노력과 함께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자치단체마다 사활을 걸다시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현재 전북의 총사업체 수는 15만 천여개가 넘는다. 2011년에 12만 8000여개, 2016년에는 14만 7000개였던 것과 비교할 때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

그런데 그 속내를 들여다 보면 아쉬운 점이 몇 가지 있다. 먼저, 본사의 소재지 기준으로 한국거래소에 등록된 전국 2500여개의 상장법인 중 전북지역의 상장법인 수는 27개사로 전국 대비 1.1%에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서울 986개사, 경기 681개사, 충남 95개사, 경남 91개사, 인천 85개사와 비교할 때 전북에 본사를 두고 있는 상장법인의 비중이 너무 낮다.

물론 기업공개와 그 숫자만으로 기업의 가치와 지역의 경쟁력을 평가할 수는 없지만, 기업상장은 기업의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하고 철저한 검증을 통해 진행되는 만큼 사업전망이 유망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업의 상장여부는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고 타지역에 알리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수반된다.

특히, 지난 2007년 코스피가 2000선을 넘어선 이후 13년만인 올해 3000선을 돌파하고 코스닥이 20년만에 1000선을 돌파하는 등 주식시장이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음을 감안해 볼 때 우리 지역에 본사를 둔 상장기업이 적은 것은 매우 아쉬운 상황이다.

또 한가지 주목할 것은 2020년 매출액 기준 1000대 기업 중 전북에 본사를 둔 기업은 총 12개사에 불과하고, 1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린 기업은 단 하나도 없어 우리 지역의 낙후된 경제현실의 민낯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전국 매출액 1000대 기업의 시·도별 분포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514개)과 인천(38개), 경기(177개) 등 수도권이 729개사로 72.9%를 차지하고 있고, 부산·경남·울산(93개), 대구·경북(47개) 등 영남권에 140개사(14.0%)로 대부분이 몰려 있다.

이와 같은 불균형은 반드시 시정되어야 한다. 산업 인프라가 부족한 우리 전북은 경제의 주축이 될 청년 1만여명이 해마다 일자리를 찾아 지역을 떠나고 있다. 아이들 울음소리가 점차 줄어들고, 청년들이 떠나다 보니 지역소멸을 걱정해야 하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정부는 지방 소멸을 막고, 지역의 고른 발전을 위하여 지방 SOC 인프라 구축, 지방소재 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규제개선 등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향적 자세가 절실히 요구된다.

아울러 전라북도와 시·군 자치단체들도 기업지원을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 지자체 조례로 해결할 수 있는 규제는 없는지, 기업 활동에 불편한 점은 없는지 세심하게 살피고 지원해야 한다.

기업들도 코로나 19와 경기침체로 어렵다고 움츠리고만 있기보다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기술개발과 투자를 지속적이고 과감하게 펼쳐 나가야 한다. 지금 우리 앞에 닥친 어려움은 예상치 못한 변화와 고통을 주고 있지만 동시에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도 열려 있기 때문이다.

우리 도민들도 지역기업에 대한 아낌없는 사랑과 함께 지역 산품 애용 등 기업지원을 위해 힘과 지혜를 모아 나가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전체가 기업의 든든한 후원자가 될 때 기업하기 좋은 지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으며, 그것이 곧 전북의 발전으로 가는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윤방섭 전주상공회의소 회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