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8:05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오목대
일반기사

지방 의회 ‘검은 사슬’

김영곤 논설위원

삽화 = 정윤성 기자
삽화 = 정윤성 기자

잇단 구설수와 비리로 여론 뭇매를 맞은 전주시의원들이 다시 한번 고개를 숙였다. 부적절한 처신으로 시민들에게 공개 사과를 한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어서 강하게 문제 제기를 한다. 잘못을 저지르고 공개 사과를 하는 지방의회 악순환이 언제까지 되풀이 돼야 하는가. 이처럼 의원들 비위와 일탈 행위가 불거질 때마다 지방의원 자질론이 대두되는 것도 식상해 진지 오래다. 제식구 감싸기 수준의 보여 주기식 징계야말로 검은 사슬을 끊어내지 못하는 주범이라고 지적한다.

반성하고 뉘우치는 자세 또한 논란이다. 진정성이 있느냐 없느냐 문제다. 당장 급한 불부터 끄고 보자는 자리 인데도 정작 논란의 당사자는 얼굴도 안 보여 빈축을 사기도 했다. 매사 과오가 있으면 그에 걸맞는 처벌이 있게 마련이다. 정치인은 공천 과정을 통해 책임을 묻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량한 동료 의원까지 도매금으로 취급 당하는 게 안타까울 뿐이다. 2014년과 2018년 지방선거 출마자 중 전과자 비율은 40%선에 달했다. 지역주민 대변자로서의 도덕성과 자질을 의심케 하는 대목이다. 아울러 함량미달 후보를 걸러내지 못한 정당 책임에 대한 비판과 견제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말 뿐인 세대 교체는 공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한 까닭이다. 제 살을 도려내는 아픔을 겪지 않고 어떻게 혁신 공천이 이뤄지겠는가. 정당에서 한솥밥 먹는 동료를 징계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동정론에 떠밀려 처벌 시늉에 그치면 돌이킬 수 없는 부메랑에 직면하게 된다. 선거 때마다 혁신 공천을 그토록 외쳐 댔지만 기득권 세력 벽에 막혀 좌초된 게 현실이다. 그 결과는 참담했다. 2016년 20대 총선 새누리당의 친박·비박간 공천파동 참패가 대표적이다. 유권자는 안중에도 없이 정당의 극단적 이기주의가 빚은 값진 교훈이다.

여론이 들끓었던 김제와 정읍시의회 동료 의원 성추문 사건과 익산시의원 막말 발언은 지방의회 현주소를 그대로 투영하고 있다. 파문의 당사자 일부는 물의를 빚은 뒤에도 반성은커녕 볼썽사나운 추태를 연출 민심만 악화됐다. 그 밖에도 이권 개입과 부동산 투기의혹 등으로 지탄 받은 사례가 적지 않았다. 오죽하면 주민들이 지방의회를 ‘비리 백화점’으로 낙인 찍고 등돌린 지가 꽤나 됐다.

대선 레이스 와중에도 내년 6월 지방선거를 겨냥한 입지자들의 행보는 빨라지고 있다. 특히 ‘안방’으로 여기며 지방의회 권력을 사실상 장악한 민주당 입장에서는 뼈를 깎는 각오로 거듭 태어나야 할 것이다. 일당 독주체제 폐해에 따른 유권자 반감이 결코 예사롭지 않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비리 연루 의원에 대해선 무관용의 공천배제 원칙을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아무래도 정당 후보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공천과 경선이라는 필터링 기능이 있기에 이를 신뢰하는 것이다. 이런 기대가 빗나간다면 유권자는 회초리를 들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영곤 kyg@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