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19:16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타향에서
외부기고

바다 위의 탄소중립 전쟁

image
김양수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

얼마 전부터 시내버스에 천연가스 표기가 많아지더니 최근에는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전기자동차가 급증하고 있다. 이것은 다음세대에 깨끗한 환경을 물려주려는 인간의 기술개발을 통한 노력의 일부이다. 이미 오래 전부터 유엔환경계획(UNEP)이나 세계환경개발위원회(WCED) 등 국제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지구의 71%를 차지하는 바다는 지속가능한 인류를 위해 반드시 보전되어야 할 자연이자 자원이다. 지금 이 시간에도 각 대륙을 오가는 10만여척 이상의 상선들을 비롯해 각국의 연근해 소형선박들이 화석연료를 연소하면서 오염물질을 뿜어내고 있다. 이 선박들이 배출하는 총 탄소량은 이산화탄소 세계 5위 배출국인 일본의 총량과 맞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2008년 대비 50%로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을 강제하기 시작했다. 당장 내년부터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선박들은 운항을 중단하거나 속도를 크게 낮춰 탄소배출량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국가들이 해상환경규제를 강화하고 있는데, 유럽연합(EU)의 경우 ‘23년부터 역내를 기항하는 선박들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의무화하는 등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선사들은 기존 선박을 친환경 선박으로 대체하거나, 친환경 연료를 사용해야하는 선택의 기로에 서있다.

친환경 선박으로의 전환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됨에 따라 우리 정부와 업계도 분주히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1년 12월에 친환경선박 보급 촉진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그린뉴딜,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선박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국적원양선사인 HMM도 ‘2050 탄소중립 전략’을 발표하고 발 빠르게 친환경 선박확대를 추진 중에 있다.

다행인 것은 우리나라 조선소들이 LNG 추진선 등 친환경 선박 건조기술에서 가장 앞서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빠르게 진행되는 친환경 선박도입은 ‘08년 금융위기 이후 유럽이나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침체된 우리나라 해운산업에 다시 활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다만, 기존 선박 대비 10~30% 가량의 추가 건조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이 친환경 선박 도입의 걸림돌이 되고 있어 선박금융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하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2018년 선제적으로「친환경설비 개량 특별보증 프로그램」을 마련 후 현재까지 223척에 대한 4,900억원의 보증을 제공하여 국적선사 선박의 친환경 전환을 앞당겨왔고, 지난해에는 4,293억원의 선박금융을 제공하여 17척의 친환경 선박이 건조될 수 있도록 지원한 바 있다.

이어 공사는 정책금융기관들과 공동으로 ‘친환경선박 금융지원 플랫폼’을 구축하여 국적선사들이 제 때에 친환경 선박을 발주할 수 있도록 적기 자금지원체제를 마련하였으며, 나아가 친환경 선박 발주에 소요되는 업계의 자금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세제절감 혜택을 제공하는 선박 조세리스 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친환경 선박 금융지원은 해운과 조선의 상생협력을 강화하는 촉매제가 되어 우리 조선소가 건조한 친환경 선박으로 우리 선사들이 친환경 해상운송을 주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여 우리 후손들에게 깨끗한 바다, 깨끗한 환경을 물려줄 수 있도록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

/김양수 한국해양진흥공사 사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탄소중립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