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력 용의자 이승만, 이정학 대상 각각 4차례 조사 진행
2003년 대전 현금수송차량 절도 사건 이승만 단독 범행 아닌 공범으로 추가 밝혀
전북경찰, “총기 탈취 후 강도살인 패턴, 전주 백 경사 사건과 연장선 적극 수사 노력”
전북경찰이 20년넘게 범인을 잡지 못하면서 미제 사건으로 남겨졌던 전주 백 경사 피살 사건의 유력 용의자가 대전 국민은행 강도살인 사건 범인들 중 한명인 것으로 특정됐다.
이후신 전북경찰청 형사과장은 16일 언론 브리핑을 갖고 “백 경사 피살사건과 관련해 유의미한 진전이 있었다”며 “현재 대전 은행강도살인 사건 범인들의 범행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대전 은행강도살인 사건은 지난 2001년 12월 21일 오전 10시께 대전 서구 둔산동 국민은행 지하주차장에서 현금 수송용 가방을 운반하던 은행 출납과장(당시 45세)을 이승만과 이정학이 권총으로 살해한 뒤 현금 3억 원이 든 가방을 갖고 도주한 사건이다.
이후 강도 살인 혐의로 구속기소 된 이들은 지난달 1심서 이승만은 무기징역을, 이정학은 징역 20년을 선고받고 교도소에 수감 중이다.
지난달 13일 이승만으로부터 ‘사라진 백 경사 총기의 소재를 안다’는 내용의 편지를 받은 경찰은 주요 증거물인 사라졌던 백 경사의 총기를 울산에서 확보했다.
현재까지 전북경찰은 이승만과 이정학을 대상으로 각각 4차례의 조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이들은 백 경사 살해 진범이 상대방이라며 범행을 떠넘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경찰은 이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난 2003년 1월 22일 대전 중구 은행동 밀라노 21 쇼핑몰 지하 주차장에서 현금 4억7000여만원이 실려있던 현금수송차량을 훔쳤던 진범이 이승만 단독이 아닌 이정학과의 공동 범행이었음을 밝혀 내기도 했다.
그리고 경찰은 이 범행이 백 경사 피살 사건의 연장선에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이승만과 이정학은 지난 2001년 10월 도보 순찰 중이던 경찰관을 차로 들이받은 뒤 총기를 탈취, 이후 두 달 만에 대전 은행강도를 저질렀다.
또 2003년 이들은 현금수송차량 절도 사건을 벌였는데 경찰은 이 사건에서 사라졌던 백 경사의 총기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증명하듯 백 경사 부검 결과 그의 몸에서는 소극적인 저항흔과 목적성이 있는 상흔이 발견됐는데 경찰은 이 흔적들이 칼에 찔려 치명상을 입었으면서도 마지막까지 총기를 뺏기지 않으려 했던 백 경사의 저항흔적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승만과 이정학이 불법 테이프 유통업을 했는데 전주와 익산 등을 자주 방문했다는 점도 백 경사 피살 사건의 범인이 이들일 것이라는 가능성을 높여준다고도 했다.
이후신 형사과장은 “수사 모든 가능성을 열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최소 둘 중 한 명 범인일 것이다”며 “적극적으로 수사해 ‘전주 백 경사 사건’이 밝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엄승현 기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