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2:10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기고
외부기고

물러설 때 물러설 줄 아는 진정한 용기

image
최이천 전주시자원봉사센터 이사장

눈을 크게 뜨고 정신을 차리고 냉철하게 대한민국의 현재의 경제상황 , 미래의 상황  그리고 치열하고 냉정한  세계속에서 대한민국의 실체를 직시해봅시다.

전 세계는 지금 이 시간에도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하에 반도체 컴퓨터, 자동차, 원자력 등 국가의 미래 생존을 이끌고 나갈 최첨단 산업분야에 세계 각국의 우수한 인재들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다. 대한민국의 현실은 어떠한가? 국가의 미래를 이끌고 나아가야 할  수많은 최우수 대학생들인 이른바 SKY대학이나 카이스트 특수학과 등 학생들이 학교를 그만두고 의대나 법대를 들어가기 위해 재수 삼수를 하고 있다. 이 어처구니 없는 현상이 수 년만 더 지속되면 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고 나아가야 할 핵심 인재들의 부족으로 과연 우리나라는 냉정하고 치열한 세계 경제 속에서 얼마나 버텨낼 수 있을까? 국가의 운명이 달린 이 심각한 상황을 어느 누구도 말하지 않는다. 그 많던 어르신들은 어디에 계시는지. 지금이라도 정부는 의대 인원을  줄이고 우수한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한다. 많은 장학금, 졸업 후 보장된 정년없는 정년, 고액의 연봉, 충분한 연구시설과 환경을 보장해 주어야 한다. 소아과 오픈런,  응급실 뺑뺑이, 산부인과 외과 흉부외과 등의 휴∙폐업은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서 발생한다. 절대 이  분야 의사 수가 부족한 게 아니다. 10년, 20년 전에는 지금보다 훨씬 적은 수의 의사들이 있었다. 그러나 그 때는 이런 용어들이 전혀 없었다. 힘든 의과대학 시절을 보내고 더 힘든 수련과정을 겪고 나서 수많은 환자들을 치료하고 살려내기 위해, 의사들은 피와 살을 도려내는 희생과 봉사의 정신으로 진료에 임했는데 한순간 불가항력적인 의료사고에 대해 무조건적인 의료소송, 그에 따른  절대 감당할 수 없는 수억 원에서 수십억 윈까지의 손해배상과 심지어는 절대 이해할 수 없는 의사 구속이라는 현실을 마주하면서, 의사들은 자괴감을 느끼며 스스로 전문의료 현장을 떠난다. 열악한 최하수준의 의료수가의 과감한 현실화, 의료분쟁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 등이 뒷바침되면 현장을 떠난 의료진들이 다시 현장에 돌아오고 많은 사명감을 가진 전공의들이 많이 돌아올 것이다. 응급실 뺑뺑이도 1차, 2차, 3차 의료전달 체제를 확실히 하고 3차 상급병원에서 치료받아야 될 환자만 3차에서 치료 받는 시스템을 갖춰 주고 정부는 충분한 재정과 인력을 지원해주면 가능하다. 

의사들도 부양할 가족이 있는 평범한 직업인이다. 의사는 신이나 성인이 아니다. 무조건적인  희생을 강요하면 안된다. 

몇 달 전  미국에 있는 절친이 울면서 전화가 왔다. 당뇨 합병증으로 눈에 심한 질병이 생겼는데 미국에서는 수 년을 다녀도 치료가 안 된다는 것이다. 매달 의료보험료로 200만원정도 나가고 매번 병원가서 눈 치료 받을때마다 많은 돈을 지출한다는 것이다. 그 친구가 한국에 들어와서 2주 정도 치료하여 거의 완치되어 눈물을 흘리며 미국으로 들어갔다. 그는 "한국 의료를 실감했다"면서 "이거 전 세계인이 부러워하고 칭송하고 자기들 나라에서도 하고 싶지만 절대 흉내도 못내는 게 한국 의료다"라고 말했다. 여기까지 오기에는 수 많은 한국 의사들의 희생과 봉사정신이 있었으며, 그들이 내 나라 내 국민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Kㅡ의료가 만들어졌다. 의료진과 정부에게 대한민국을 너무나 사랑하는 한 사람으로서 진심어린 부탁을 드린다. 서로 한 발짝씩 물러서서 진정 대한민국을 위하는 것이 어떤 것인가를  얘기하자. 우리나라는 어려울수록 힘을 합하고 서로가 서로를 사랑하는 그런 훌륭한 민족이다. 진정 우리나라의 어르신들을 뵙고 싶다. 

/최이천 전주시자원봉사센터 이사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이천 #전주시자원봉사센터 #의료 파업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