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진퇴양난’ 지방 의료계...지방 전공의로 수도권 채우기 현실화

-지역 수련병원 전공의 사직서 수리 불가 방침, 전주예수병원의 경우 인턴 17명만 수리
-수도권 병원들 22일 부터 모집 시작이지만, 이미 물밑 작업 시작
-수련병원들 사직서 미수리 시 향후 소송 우려도
-정확한 해결책 없어, 병원들 상황 '깜깜'

image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정부가 제시한 전공의들의 사직 처리 마감 시한인 15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 전공의 복귀를 촉구하는 인쇄물이 붙어 있다. 2024.7.15 ksm7976@yna.co.kr

지방 전공의로 수도권 전공의를 채운다는 우려가 현실이 되는 양상이다. 지방 의료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의 일방적 정책에 지역 병원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18일 전북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도내 수련병원들은 모두 전공의들의 사직서 수리 불가 방침을 정했다. 전주예수병원만 인턴의사 17명의 사직서를 수리했다. 이들은 병원 소속이었지만, 입사 이전 전공의들이 파업함에 따라 근무를 전혀 하지 않았던 상태였다.

이날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브리핑을 열고 “사직한 전공의들은 9월 하반기 수련과정에 복귀한다면 특례를 적용받아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며 “각 수련병원들은 미복귀 전공의들이 9월에는 다시 의료현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설득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부는 수련환경평가위원회를 거쳐 결원 규모를 확인한 뒤, 오는 22일부터 하반기 전공의 모집 일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정부는 각 수련병원에 지역별 지원 제한을 두지 않았다. 현재 수도권 병원을 제외한 지방의 수련병원들은 전공의 추가 모집 자체를 꺼리는 분위기다. 전북대병원의 경우 전공의 파업 사태 이전부터 결원이었던 소아과 10명 등 이외에는 추가 전공의 모집 신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전북대병원은 현재 전공의 149명이 사직서를 제출한 상태다. 

지방의 수련병원들은 기존 전공의들의 복귀만을 하염없이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수도권 각 병원들은 지방 병원에서 사직서를 냈던 전공의들을 고용하기 위해 이미 물밑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도내 한 수련병원에서는 이미 수도권 빅5 병원 중 한 곳으로 전공의 1명이 이직 의사를 밝혀 사직서를 수리해 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22일부터 전공의 모집을 시작한다고 밝혔지만, 이미 각 병원은 필요한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공의들과 접촉하고 있는 셈이다.

도내 한 수련병원 관계자는 “전공의들이 수도권 병원에 취업할 때 지방 병원에서 사직서를 수리해주지 않으면 취업 자체가 안 돼 소송을 당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수련을 아예 하지 않겠다는 전공의들은 사직서를 수리해주지 않을 수 있지만, 타 병원으로 이직은 막을 수 없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수련병원 관계자는 “현재 전공의들의 사직은 수도권을 제외하고 대부분 보류하자는 의견이 모아졌다”며 “국립대병원 등은 추가 모집 자체를 꺼리고 있다. 참 답답한 심정이다. 정확한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다. 병원 사정은 계속 나빠지고 있는데, 전공의들의 복귀 말고는 아무런 대책도 나아질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정부 전공의 복귀 D-DAY…전북 지역 복귀자는 '0' 지방 전공의로 수도권 채우기?...무대책 정부에 지역의료 ‘패닉’
김경수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문화'작지만 강한' 전북도립미술관의 반란

경제일반전주상의

경제일반홈플러스 노조, 철야농성 재개…"지금이 골든타임"

경제일반전세사기 피해자 누적 3만4천481명…인정비율 63.7%

정치일반'역대급' SKT 개인정보 유출에도 30만원…배상 기준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