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가면을 벗자

image
송상재 전북특별자치도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

노조위원장인 나는 요즘 입직하는 직장 새내기들을 보면 과거 나의 모습이 떠오른다. 그때의 나는 슬프거나 언짢았던 내 감정과 배치되는 웃음을 많이 지었던 것 같다. 당시 조직 분위기는 근무 연수가 적고 어릴수록 “착함”을 강요하는 분위기였다. 현재도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다. 내가 화나거나 슬퍼도 감정을 숨기고 웃으면서 말해야 하는 ‘감정노동’을 강요받는다. 소위 “착한 척”을 해야 문제없는 조직 생활을 할 수 있다.

요즘 내 눈에 들어오는 우리 조직의 2~3년 차 정도 되는 주무관이 있다. 궂은일도 척척 잘 해내고 성실하며, 주변 동료들을 잘 돕는 ‘괜찮은 동료’이다. 그 주무관을 보면 기분이 좋아져 나도 모르게 “주무관님은 참 착하세요.”라고 얘기한 적이 있다. 그러자 그 친구는 내게 웃으면서 이렇게 말했다. “위원장님, 사실 저는 착한 사람은 아니예요. 저는 ‘가면’을 쓰고 있는 거예요.”

 “가면”

 심리학 용어로 “페르소나”라고 한다. 페르소나는 다른 사람들의 눈에 비치는 실제 성격과 다른 개인의 모습이다. ‘겉과 속이 다른 이중성격’의 의미로 단순히 이해한다면 ‘가면’은 부정적으로 우리에게 다가올지 모르겠으나, 심리학자 카를 융은 페르소나(가면)를 개인이 외부 세계에 적응하기 위해 사용하는 사회적 얼굴이라고 정의했다. 

   “가면을 써 보세요.”

 나는 사회초년생(저연차 새내기)들이 사회 적응과 미래의 성공을 위해 자기가 지향하고자 하는 이상적인 모습의 가면(페르소나)을 만들어 써 보는 과정을 가졌으면 좋겠다. 페르소나는 이 시대 생존에 필수요소이며, 사회적 기대와 규범에 맞춰 행동하게 하는 중요한 도구로,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사회적 성공의 발판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어렸을 때 그럴듯한 나로 보이기 위해 ‘그런 척(착한 척, 멋있는 척, 정의로운 척 등)을 했던 것 같다. 그런데, ‘그런 척’을 수십 년 하다 보니, 이제 내가 그런 척을 하는 건지, 진짜 내가 그렇게 된 건지 모르는 상태가 됐다. 이제는 내 자신이 그렇게 하지 않으면 너무 불편하고, 참을 수 없다. 이는 페르소나를 적절히 활용하면 나이가 들었을 때 진정한 자아와 사회적 역할 간의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 예가 아닐까 싶다.

그러나 페르소나(가면)는 긍정적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자칫 페르소나가 심하면 이중성격으로 굳어질 수 있다. ‘직장에서의 나’와 ‘집에서의 나’가 다른 경우가 그 흔한 예일 것이다. 우리가 잘 아는 소설, <지킬앤하이드>에서 지킬 박사는 인간의 페르소나로 사회적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모습이며, 하이드는 우리 내면의 실체이자 어두운 그림자이다. 

페르소나는 정체성 고민과도 연결되어 있다. 자신이 보여주고 싶은 이상적인 모습만 보여주다가는 진짜 나의 모습을 잃을 수 있다는 면에서는 페르소나(가면)는 분명 경계해야 한다. 가면이 내 자신을 ‘가짜’로 인식하게 만들고 자기분열, 열등감으로 이어지게 한다면,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해 페르소나를 과감히 벗어던지는 용기가 필요하다.

사회적 성공을 위해 어느 정도의 페르소나는 인정할 수밖에 없더라도, 내 본연의 모습까지 잃어서는 안 된다. 직장에서 “착한 사람”페르소나는 감정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 현재 내가 직장생활 속에서 감정적 번아웃 징후를 보이고 있다면 오늘 이렇게 해 보길 권한다. “가면을 벗으세요!” 

/송상재 전북특별자치도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