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2:06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기고
외부기고

사색의 창에서 잘사는 길을 만나다

image
소향(素香) 류영하 시인. 

 

우리는 언제 불의의 사고를 당할지, 몹쓸병에 걸릴지도 모르고 살아간다.

병원 응급실에서 삶과 죽음사이를 오락가락하는 환자를 보면 죽음은 정말 두렵기만하다. 유언 하마디도 못하고 떠난 친구가 너무 안타깝다. 가족과 떨어져 군산에 근무할 당시 틈나는 대로 산책을 하면서 사색하는 시간을 많이 가졌다.

나한테도 언제 닥칠지 모르는 죽음에 대하여 깊은 고뇌에 빠지게 되면서 꿈속에서 어머니로부터 죽음에 대한 영감을 받았다. ‘죽는연습’의 시작이다. 내가 지금부터 3일밖에 살지 못한다고 스스로에게 준엄한 명령을 내린다.

3일 동안 꼭 해야할 일을 정리하고, 유언장도 작성해 둔다. 반듯이 누워서 단전호흡을 하면서 서서히 호흡을 멈추었다가 되살리기를 반복하면서 지금까지 살아 온 ‘나의 인생’을 총정리해 본다.  

앞으로 남은 여생을 어떻게 하면 조금 더 잘 살아 갈 것인지 뚜렷한 목표와 가치관, 꼭 하고 싶은 일들을 정리한다.

‘나는 이런사람이 되겠습니다’ 스스로에게 다짐하는 기도문을 작성하고, 새기고 싶은 명언과 철학, 좋아는 시(詩)와 노래가사, 사람과 자연의 이야기들을 정리해 놓는다. 소향가(素香歌)가 완성되었다.

틈나는대로 반듯이 누워 단전호흡을 하면서 기도문부터 차례로 새긴다. 서서히 호흡을 멈추면서 육체 이탈하여 영혼의 세계로 들어간다.  다시 깨어나서 느낌과 다짐을 정리한다.

이러한 죽는연습을 반복하다 보면, 먼저 이 세상에 살아있다는 자체가 감사하고 가족은 물론이고 인연들이 모두 소중함을 뼈저리게 느낀다. 또 시간을 아껴쓰게 되고, 저절로 바빠지고 부지런하게 된다. 규칙적인 생활과 절제력이 커지고 자연스럽게 건체강심(健體康心)도 얻어진다.

육체가 생명을 다하는 날이 죽는연습을 완성하는 날이고 영혼의 세계 삶이 시작된다.

유언도 해 놓았고, 해야할 일들도 하면서 잘 살아 왔으니 가볍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

지금 이 세상에서 잘 살아가면 그대로 영혼의 세계로 이어진다는 확신이 생긴다.  생활이 보다 윤택해 지고 활력도 생긴다. 계속 책을 가까이 하게 되고 책과 사색을 통하여 새로운 죽는연습 방법을 만들어 간다.

가까운 지인들에게 죽는연습을 전파하게 되고, 큰 보람을 느끼게 된다. 소향가를 참고해서 자신에게 맞는 유니크한 ‘독자 자신만의 죽는연습 창시자’가 되는 것이다.

저자 자신도 현실에 쫓겨 꼭 하고 싶은 전원생활은 못하고 있지만 이 소설속에서 멋진 곳 산동네에 아담한 집을 짓고 자연속에서 자연스럽게 살아가고 있다. 자신이 만들어 논 영혼의 세계에도 놀러 다닌다.

동네사람들이 토론하면서 의견을 모아 평화롭게 살아가는 모습이 재미있다. 좋아하는 노래 선정(가요, 판소리, 민요, 팝송등)/ 단체 놀이/ 살면서 가장 기뻤던 일 공유/ 좋아하는 화가와 작품 선정/ 전통음식 요리 및 나눠 먹기/ 꼭 가고싶은 여행지 선정 및 단체관광/ 꼭 하고싶은 레포츠 선정 및 여가활동/ 내가 좋아하는 문학작품을 선정하고 돌려보기들 이다.  보통사람들이 꿈꾸고 있는 아름다운 세상이다.

이러한 생활에 아주 만족하고 행복하기 때문에 ‘죽는연습’을 전파해서 다함께 잘 살아가기 위해서 쓴 소설이다.

독자들도 서로 전파해서 평생 함께할 도반(道伴)과 사우(師友)가 되고, 이 세상에서 재미있게 지내다가 죽는연습이 완성하는 날에 편안하게 죽음을 받아들이고, 설렘과 희망과 사랑이 가득한 ‘자신이 만들어 놓은 영혼의 세계’에서 만나요.  시작입니다. 

/소향 류영하 시인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류영하 #죽는연습을 완성한 사람들 #부록 소향가 중에서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