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봄철 캠핑장 안전사고 예방,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image
이주상 완주소방서장

봄철은 캠핑을 즐기기에 더없이 좋은 계절이다. 따뜻한 날씨와 자연속에서 여유를 즐기려는 상춘객이 증가하면서 전국 곳곳의 캠핑장이 붐비는 시즌이다.

하지만, 부지불식간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크고 작은 인명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맘때 캠핑장에서 발생한 화재 및 폭발 사고 사례를 보면 안전 불감증이 가져오는 위험성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한다.

지난 2025년 3월 16일, 전북 김제시 금산면의 캠핑장에서 텐트 내부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하여 14세와 6세 자매가 각각 2도 및 3도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2015년 10월 4일에는 완주군 운주면의 캠핑장에서 부탄가스가 폭발해 성인 2명이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된 바 있다. 이러한 사고들은 캠핑장에서의 사소한 부주의가 돌이킬 수 없는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한다.

 

화재 예방, 기본부터 철저히

 캠핑장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첫째, 화기 사용은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만 해야 하며, 바람이 강한 날에는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캠프파이어, 바비큐 그릴 등 불을 사용하는 모든 활동 후에는 불씨가 완전히 꺼졌는지 확인하고, 남은 숯과 재는 물을 충분히 뿌려 처리해야 한다.

 둘째, 부탄가스와 휘발유 등 인화성 물질의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부탄가스 용기를 난로나 화기 근처에 두면 폭발 위험이 높아진다. 과열된 부탄가스가 폭발해 화재로 이어지는 사고가 잦은 만큼, 가스용기는 반드시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셋째, 캠핑장에서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는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무리한 멀티탭 사용은 전선 발열을 유발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전기 기기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야외활동 중 안전사고 예방도 필수

 화재뿐만 아니라 캠핑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사고에도 대비해야 한다. 봄철은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크기 때문에 저체온증 위험이 있으므로, 어린이와 노약자는 체온 유지에 신경 써야 한다. 따라서, 보온 기능이 뛰어난 침낭을 준비하고, 두꺼운 옷을 충분히 챙기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산악 지역에서의 캠핑은 낙상 및 미끄럼 사고 위험이 크다. 특히 야간에는 시야 확보가 어려우므로 이동할 때 손전등이나 랜턴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경사가 심한 곳에서는 미끄럼 방지 장비를 갖추고, 사전에 안전한 이동 경로를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를 위해 응급처치 키트를 준비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간단한 소독약, 붕대, 해열제 등을 구비해 놓으면 갑작스러운 부상이나 질병 발생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작은 실천이 안전한 캠핑 문화를 만든다

 캠핑은 자연을 벗 삼아 휴식을 취하고 가족, 친구들과 소중한 추억을 만드는 시간이다. 하지만, 작은 부주의가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먼저 우리 가족부터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사전에 철저한 대비를 한다면, 사고 없는 안전한 캠핑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봄이 무르익어가는 요즈음, 캠핑을 계획하고 있다면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자세와 꼼꼼한 실천이 안전의 필요조건이며, 안전한 캠핑은 나와 내 가족, 이웃을 지키는 첫걸음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주상 완주소방서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