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16:05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자치·의회
보도자료

[창간특집] 전북자치도, 성장단계별 맞춤 지원…2년 연속 창업기업 증가율 1위

민선 8기 창업 지원 예산 4배 증가 300개 기업 혜택
전북 벤처펀드 1조 시대 돌입… 비수도권 최대 규모
글로벌 스타트업 도내 유치…창업 생태계 외연 확장

image
김관영 전북특별도지사가 2023년 6월 20일 서울 KDB산업은행 본사에서 열린 전북 지역혁신 성장펀드 결성식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전북도 제공

“더 특별해진 전북이 창업기업의 혁신성과 도전 정신으로 무장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성장 동력을 만들어 갑니다.”

전북특별자치도가 민선 8기 출범 이후 창업기업 육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과감한 도전으로 대기업 유치와 창업기업 육성이라는 쌍두마차 성장전략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뤄가겠다는 구상이다.

실제 민선 8기 출범 이후 ‘민간 주도형 창업생태계 조성’을 핵심 전략으로 내세운 전북자치도는 2년 연속 창업기업 증가율 전국 1위를 기록하며 그 성과를 입증하고 있다.

올해 중소벤처기업부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전국 창업기업 수는 전년 대비 4.5% 감소했으나 전북은 오히려 1.4% 증가한 4만 3975개 기업을 기록했다.

이는 민선 8기 출범 이후 전북자치도가 추진해 온 ‘민간 주도형 신산업 창업생태계 조성’이란 전략이 거시경제의 부정적 흐름을 이겨내고 지역 경제의 회복 탄력성을 강화했다는 분석이다.

image
김관영 전북특별도지사가 2024년 7월 4일 군산 선유도 등 새만금 일대에서 진행된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지역 커뮤니티 행사에 참가했다. 사진=전북도 제공

△전북 창업 지원 예산 4배 증가, 해마다 300개 기업 지원

도는 민선 8기 출범과 동시에 창업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전주기적 맞춤형 지원 시스템을 구축했다. 

도청 내 창업 정책의 컨트롤타워가 될 부서인 ‘창업지원과’를 신설하고 민간 거버넌스 확대 및 창업기업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 정책을 강화했다.

국내 최고 창업정책 전문가로 구성된 ‘창창 자문단’ 운영을 통해 정책 수립의 전문성을 높이고 산업은행·벤처기업협회·은행권청년창업재단·코리아스타트업포럼 등 주요 창업벤처 관련 기관의 행사를 유치하며 거버넌스를 고도화시켰다.

그동안 유치한 창업벤처 관련 행사만 보더라도 2023년 생태계컨퍼런스·벤처썸머포럼, 지난해 은행권청년창업재단(디데이) KDB넥스트라운드·코리아스타트업포럼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예비 창업 단계부터 초기, 도약, 재도전에 이르기까지 창업 주기별 맞춤형 지원으로 성공 창업 및 지속 성장 가능성을 확보하고 해마다 약 300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단계별 사업화 자금, 멘토링, 교육, 네트워킹, 사무 공간 등의 혜택이 이뤄지고 있다.

도의 창업 관련 예산도 2022년 76억 원에서 2023년 168억 원, 지난해 167억 원, 올해에는 323억 원 등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는 창업 정책에 대한 도 차원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image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2023년 3월 7일 전북테크비즈센터에서 전북 창업정책과 지원사업을 안내하는 '전라북도 창업정책 한마당'을 개최했다. 사진=전북도 제공

△전북 벤처펀드 1조 시대 돌입… 비수도권 최대 규모

민선 8기 이후 전북은 벤처투자 생태계의 불균형 해소에 주력하며 민간 자본 유치에 박차를 가했다. 

그 결과 창업기업 투자 기반 확대를 위한 전북 벤처펀드는 3년간 15개 펀드, 6078억 원이 추가 결성되며 누적 8183억 원 규모로 성장했다. 

1조원 돌파가 가시화된 셈이다.

이는 민선 7기 누적 2105억 원과 비교해 4배가량 증가한 수치로, 전북자치도는 지난 2023년 6월 ‘전북혁신성공 벤처펀드’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1조 벤처펀드 결성을 위한 3대 전략 및 6개 분야 과제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엔젤, 초기, 스케일업, 센컨더리 등 다양한 펀드를 조성하고 31개 투자사가 참여하는 ‘전북특별자치도 벤처펀드 운영사 컨소시엄’을 출범시키는 등 수도권 중심의 투자 환경을 극복했다. 

image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북테크노파크가 공동 주최한 '제2회 기후테크 스타트업 경진대회 SWITCH(신규 트랙)'가 26일 서울 홍익대 인근 라이즈오토그래프컬렉션에서 열렸다. 사진=전북도 제공

△TIPS 확대 및 글로벌 스타트업 유치…창업 생태계 외연 확장

민간 주도 창업 생태계의 핵심인 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선정에도 성과가 뚜렷하다. 

TIPS는 중기부가 선정한 TIPS운영사가 역량 있는 창업기업에 1억 원 이상 선투자하면, 정부가 최대 17억 원까지 매칭 지원하는 기술창업지원 정책이다.

민선 8기 이후 도내 없었던 TIPS운영사를 지역에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이들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도내 TIPS 도전을 희망하는 기업을 발굴 육성토록 했다.

이러한 결과로 2022년 2개사에 불과하던 도내 TIPS 선정 기업은 2024년 기준 22개사로 급증했으며 이를 통해 방산, 이차전지, 바이오헬스 등 신산업 창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또한 도는 지난해 기후테크 경진대회 ‘SWITCH’를 신설해 도외 유망 스타트업과 해외 혁신 기업을 적극 유치하고 있으며 지난 3월엔 비수도권 최초 글로벌창업이민센터 개소를 통해 외국인 창업을 적극 지원하는 플랫폼도 마련했다.

이러한 투자 환경 개선 노력에 힘입어 이차전지, 신재생에너지, 농식품 등 전북특별자치도 주력 산업 분야에서 수백억 원대의 대규모 투자가 잇따르며, 지역 산업 전환의 핵심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는 앞으로도 벤처펀드 컨소시엄이 참여하는 ‘전북 벤처투자 라운드 SCALE-UP 등 투자 환경을 늘려나감과 동시에, 공공실증 및 공공구매 연계 등 판로확대, 대중견기업 지원 등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를 지속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김관영 도지사는 “창업기업이 단순한 양적 증가를 넘어 기업공개(IPO)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질적 성장과 스케일업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겠다”며 “도내 대·중견기업과 스타트업의 협업이 활성화되는 역동적인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 청년과 글로벌 인재들이 도전할 수 있는 기회의 땅으로 전북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 창업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