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기준 총 2만 4192명
진안군의 인구가 한 달 사이에 21명 늘어 짧은 기간 내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이 같은 변화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한 정주여건 개선 사업의 성과로 풀이된다.
군에 따르면, 8월 14일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총 2만 4192명이다. 이는 지난 7월 말 2만 4171명보다 21명이 늘어난 수치다.
원인은 두 가지로 분석된다.
하나는 백운면의 행복주택 조성, 또 다른 하나는 부귀면의 농촌유학 가족체류형 거주시설 조성 사업이다.
백운면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조성한 행복주택에 총 12세대, 46명이 전입했으며, 그 결과 전월 대비 28명이 증가했다.
이들 대부분은 신혼부부, 청년층, 그리고 아이를 둔 가족단위 세대여서 백운면의 인구구조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유입된 아동 수도 눈에 띈다. 유치원생 3명, 초등학생 7명이 늘었다. 교육현장뿐 아니라 마을 공동체 전반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는 평가다.
부귀면은 8월 들어 농촌유학 가족체류형 거주시설을 통해 도시 거주 학생과 가족을 맞이했다. 18세대, 36명이 전입했으며 전월 대비 인구는 19명 증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유치원생 6명, 초등학생 17명, 중학생 1명이 포함됐다. 교육 인프라와 주거 공간을 연계한 맞춤형 사업이 지역 활력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셈이다.
군은 청년층과 가족 단위 전입세대 유치를 위한 다양한 인구정책을 지속해 왔다.
특히 지방소멸대응기금을 기반으로 주거, 교육, 돌봄, 일자리 등 생활 전반에 걸친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왔다. 이번 인구 증가는 이러한 정책의 실질적인 결실로 풀이된다.
주목할 점은, 이번 전입이 단순한 수적 증가에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백운면의 경우, 청년층과 자녀를 둔 세대가 다수 입주했다.
이들은 마을학교, 지역 상권, 공동체 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부귀면 역시 마찬가지다.
농촌유학 가족들이 지역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교육과 문화 교류의 폭을 넓히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장기 정착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다.
군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인구활력 정책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지방소멸대응기금과 연계해 △정주여건 개선 △귀농·귀촌 지원 확대 △농촌유학 활성화 △주거복지 확대 등을 중점 추진할 방침이다. 단기 전입을 넘어, 안정적 정착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는 전략이다.
군은 이번 인구 증가 추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정책의 내실을 더욱 기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성수면 행복주택 12세대 준공, 농촌유학 맛보기 캠프(11월 6~7일), 생활 SOC 확충 등 실질적인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
전현희 행정지원과장은 “행복주택 공급, 가족체류형 거주시설 조성, 귀농·귀촌 정착 지원,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 등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다”며 “이번 인구 증가 사례는 현장에서 실질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