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구시포해수욕장·부안 격포해수욕장 폐장⋯무더운 날씨에 방문객 북적
폐장으로 안전요원 축소되거나 없어져⋯방문객 "최소 인원이라도 배치해야"
 
   도내 해수욕장들이 폐장했지만,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면서 여전히 피서객들의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폐장과 함께 안전요원 배치 등 해수욕장 안전대책이 축소되거나 종료됐는데, 이상기후로 인해 피서철이 계속 이어지는 상황에 안전대책 또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4일 오후 1시께 부안 격포해수욕장. 주차장부터 빈자리가 거의 없었다. 해수욕장 안은 수백명의 피서객이 해수욕과 모래놀이를 즐기고 있었다. 바다 깊은 곳에 튜브를 타고 떠다니는 피서객도 있었다. 익산에서 왔다는 박이진(30대·여) 씨는 “이번 주에도 기온이 30도를 넘기고 있어 가족들과 피서를 즐기기 위해 찾았다”고 말했다. 해수욕장을 지키고 있는 안전요원은 2명 밖에 보이지 않았다.
 
   앞서 이날 오전 11시께 찾은 고창군 구시포해수욕장도 많은 피서객들로 북적였다. 피서객들은 갯벌에 있는 조개를 잡거나 튜브를 탄 채 해수욕을 즐겼다. 어린아이들도 튜브 하나에 의지한 채 바다에 빠졌다. 인근에 있던 안전관리요원센터는 굳게 잠겨 있었다. 피서철 안전요원들이 상주했을 벤치만이 덩그러니 놓여 있었다.
판교에서 왔다는 이정욱(32) 씨는 “여기 아이들도 많이 놀고 있는데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니 최소한의 안전요원은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광주에서 온 윤자민(39) 씨는 “아직 피서객들이 많은 만큼 사고 예방책들은 있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도내 8개 해수욕장들이 지난 19일을 기점으로 운영을 종료했다. 각 해수욕장은 폐장 이후 안전요원을 줄였다. 지역별로는 군산 16명에서 6명, 부안 94명에서 34명, 고창 16명에서 0명으로 파악됐다. 또한 각 지자체는 8월 31일 이후에는 모든 해수욕장에 안전요원을 배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무더운 날씨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피서철 또한 계속된다는 것이다.
전주기상지청 중기예보에 따르면 당분간 도내 낮 기온은 30~33℃로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또한 해당 기간 최고 체감온도는 33℃ 안팍으로 무더운 날씨와 열대야가 지속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월 초순까지도 30도 이상의 기온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격포해수욕장 안전요원 이모(27) 씨는 “안전요원들이 더 일을 하고 싶었지만, 예산 등 문제로 제비뽑기를 통해 소수의 인원만을 남겼다”며 “안전요원 일을 하다 보면 구조뿐만 아니라 사고예방 활동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권한확대 및 인력충원 등 여러 정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북도 관계자는 “해수욕장을 폐장하면서 인력 감축이 이뤄짐에 따라 현수막 게재와 해양경찰에 협조를 요청했다”며 “해수부에서 계속 안전관리에 대한 공문이 내려오고 있고, 안전에 대한 강조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해수부에 인력충원을 위한 예산을 요청했지만, 법적으로 지자체 소관이기 때문에 예산을 줄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