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9 16:59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보건·의료
일반기사

전립선암 조기진단율 ↑…안심은 일러

국내에서 유병률이 급증하고 있는 전립선암의 조기진단율이 높아졌지만,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르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비뇨기과학회(이사장 백재승)와 비뇨기종양학회(회장 장성구)는 1997~2009년 사이 전립선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1천672명을 대상으로 암이 전이되지 않아 낮은병기에 해당하는 '국소전립선암' 비율을 조사한 결과 1997~2000년 57.6%에서 2007~2009년에는 79%로 크게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반면 같은 기간 암이 다른 조직으로 퍼진 '원격전이암'의 비율은 39.2%에서 7.9%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들의 전립선특이항원(PSA) 중앙값도 34.5ng/㎖에서 8.0ng/㎖로 유의하게 줄어 치료가 가능한 국소전립선암의 진단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학회는 설명했다.

 

PSA 검사는 진단키트를 이용한 혈액 검사법으로, 전립선암 조기 발견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PSA 수치가 3ng/㎖ 이상이면 암 발생 위험군으로 분류되며, 이때는 조직검사를 통해 암 유무를 알아봐야 한다고 학회는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국소전립선암 발견율 상승에도 국내 전립선암 위험도는 여전히 높다는게 학회의 지적이다.

 

비뇨기과학회 안한종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악성도가 낮은 고분화도암의 진단율이 높아지고 악성도가 높은 저분화도암의 진단율이 감소 추세지만, 저분화도 암이 전체 전립선암 환자 중 36.3%로 미국의 5.7~11%와 비교할 때 아직도 현저히 높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전립선암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할 경우에는 완치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진단시기가 늦어지면 주변 장기, 림프절, 뼈 등으로 쉽게 전이돼 완치가 불가능하다.

 

대한비뇨기과학회 백재승 회장은 "올해 전립선암을 조기에 발견하자는 취지의 '블루리본캠페인'을 통해 일부 지역에서 2007년에 이어 PSA 검사를 실시한 결과 3년전에 비해 수치가 조금 낮아졌다"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전립선암의 조기 발견율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